사회 사회일반

'참여정부 인사 퇴진' 당·정·청 전방위 압박

민주당 "민주평화개혁 세력 숙청" 반발


한나라당과 청와대ㆍ정부 등 여권이 정부 산하 기관장 등을 맡고 있는 참여정부 인사들의 사퇴를 잇따라 요구하고 나섰다. 당ㆍ정ㆍ청의 조율을 통한 신구 세력교체가 추진되는 양상이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2일 광화문 문화포럼(회장 남시욱)이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개최한 제80회 아침공론 초청 강연을 통해 “이전 정권의 정치색을 가진 문화예술계 단체장들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특히 “문화예술계 인사들은 나름의 철학과 이념, 자기 스타일과 개성을 가진 분들로 그런 분들이 새 정권이 들어섰는데도 자리를 지키는 것은 지금껏 살아온 인생을 뒤집는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도 이날 정부 과천청사 인근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만나 참여정부 임명 인사들의 퇴진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일면 타당성이 있다”며 “코드가 다른 사람들이 임기가 남았다고 해서 전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있는 것은 곤란하다”고 답했다. 이에 앞서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전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아직도 국정의 발목을 잡고 개혁을 방해하고 있는 김대중ㆍ노무현 추종세력은 정권을 교체시킨 주권자인 국민의 뜻을 받들어 그 자리에서 사퇴하는 것이 옳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대해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정치적 상식과 금도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왜 전 정권에서 일했던 사람들이 물러나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잘 설명한 것”이라고 거들었다. 여권이 파악하고 있는 교체 대상은 옛 정권에서 임명된 주요 정부직과 공공기관장 등 120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참여정부에서 임명됐으나 법적 임기 보장을 내세워 사퇴하지 않고 있다. 여권은 이들 인사가 4ㆍ9총선에서 ‘반(反) 이명박 정부’의 한 축을 형성, 여권의 전열을 흐트러뜨린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총선에서 야당이 한나라당의 과반 저지에 성공할 경우 이들이 자리를 보전해 새 정부의 국정운영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게 여권의 판단이다. 이에 대해 김효석 통합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당산동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안 원내대표의 망언은 집권하자마자 민주평화개혁 세력을 숙청하려는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진다. 소름이 끼친다”면서 “대명천지 민주국가에서 어떻게 권력이 언론ㆍ문화ㆍ학계ㆍ시민단체까지 통제하려는 발언을 할 수 있느냐. 독재정권의 후예 정당인 한나라당은 이런 발언에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