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27명에 대한 4일 송환 무산… 北 "전원 송환 않으면 엄중 결과"

판문점 4시면 근무 마감…북한도 입장 내 놓을 듯

“귀환하겠다는 4명을 빼고 27명만 돌려보낸다.”(우리측) “31명 모두를 돌려 보내라.”(북측) 지난달 5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통해 남하한 북한 주민의 송환 문제가 남북 관계의 또 다른 불씨가 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북한 주민 31명 중 귀순의사를 밝힌 4명을 제외한 27명을 4일 오전 판문점을 통해 북한으로 돌려보내기로 했다. 이들을 판문점까지 이동시켜 관련 절차를 밟고 있지만, 북측에서 송환과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일체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북측과 통화는 계속해서 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북측은 3일 밤‘31명 모두를 돌려보내라’고 밝힌 것 이외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 역시 4명을 뺀 27명만 보내겠다는 통보를 번복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판문점 근무마감시간인 오후 4시가 다가오자 북측은 “근무를 연장하자”고만 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에서도 송환에 대한 입장을 내 놓기 위함 아니냐”고 해석했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귀순 회유설에 대해서는 “귀환하지 않는 4명은 본인들이 자유의사에 따라 우리측에 남기를 희망했으며 이에 따라 귀환하지 않은 것”이라며 “31명 전원이 귀환하려고 했으나 우리측 회유에 의해 일부가 잔류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에 출석해 4명이 귀순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 “이들을 상대로 귀순 공작을 했느냐”는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일단 북측과 관련 협의를 계속 시도 중이라고 전했다. 남북이 주민 송환 문제를 두고 신경전을 벌인 경우는 있었으나 이번처럼 판문점 앞에서 대치하는 험한 모습을 연출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2004년 이후 북측 선박ㆍ선원이 남하한 30건(무인선박 1척 포함) 가운데 북측에 송환되거나 전원 귀순한 사례는 각각 18건, 9건이다. 일행 중 일부만 귀순한 사례는 2건 있었으나 당시 북한은 ‘일부 송환’에는 동의하면서 나머지 주민들도 돌려보내라는 입장이어서 일단 송환은 가능했다. 한편 귀순 의사를 밝힌 4명은 선장 옥모(38ㆍ해주)씨를 비롯해 통계원 박모(여ㆍ22ㆍ해주)씨, 간호사 봉모(여ㆍ21ㆍ해주)씨, 무직 홍모(44ㆍ강원 원산)씨 등 남녀 각각 2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