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중한 대통령 경호업무 사기만 높이면 해결?

유민봉 총괄간사 “경호실 인원 안 늘려도 장관급 격상돼 문제 없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25일 현행 청와대 대통령실 산하 경호처를 경호실로 승격시켜 비서실과 분리하기로 한 배경을 놓고 유민봉 인수위 총괄간사의 설명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인수위는 이날 향후 청와대 개편에서 대통령실장 산하의 차관급인 경호처장을 장관급인 경호실장으로 격상시키기로 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실을 폐지하고 비서실로 이름을 바꾸기로 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유민봉 총괄간사는 경호실 승격 이유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업무과중 요구를 수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경호실 인원을 늘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총괄간사는 “인력을 늘리지 않고 장관급 격상만으로 과중한 업무가 해소될 수 있느냐”는 지적에 “기관이 가지는 상징성이 있지 않느냐” 면서 “차관이 수장일 때와 장관이 기관장일 때 구성원들이 가지는 사기나 그런 것들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경호실 직원의 사기가 오르는 것과 과중한 업무는 별개 아니냐는 질문이 반복됐지만 유 총괄간사는 “인원이 적어도 즐겁게 일할 수 있다. 이런 상징적 측면이 있는 것”이라고 비슷한 입장을 계속 유지했다.

새 정부 조직개편을 주도하면서 평소 명쾌한 설명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유 총괄간사가 경호실 승격 배경을 애매하게 언급하고 그친 것을 놓고 경호실과 경찰청 및 군(軍)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고려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 총괄간사가 경호실장의 장관급 격상으로 경호실이 밀접한 업무관계를 맺고 있는 경찰청은 물론 군과의 협조 체제에서 우위에 서며 원활한 업무가 가능한 것을 알면서도 설명을 피했다는 관측이다.

행정안전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경호처는 실로 승격하면서 실장도 장관급 지위를 회복해 큰 경사를 맞게 됐지만 당선인측은 과거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했던 경호실의 나쁜 이미지를 고려해 경호실 승격 배경을 최소한으로 설명한 것 같다”고 말했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