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수출=종합상사' 등식 이젠 성립 안돼

올 1-9월 종합상사 수출비중 8% 불과

과거 `수출하면 종합상사'를 떠올리던 등식이 이제는 성립되지 않을 것 같다. 28일 무역협회가 수출 1천억달러 시점과 2천억달러 시대의 무역 트렌드를 비교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수출에서 종합상사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수출 1천억달러를 기록한 지난 95년 47.7%에서 올해 1-9월에는 8%로 떨어졌다. 이는 종합상사의 계열사 수출대행 축소,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 중소기업과대기업의 마케팅 능력 강화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시기별 주요 무역업체도 크게 변했다. 95년 당시 삼성물산, 현대종합상사, 대우인터내셔널, LG상사 등이 주력 수출업체였다면 현재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LG필립스LCD 등이 그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항공운송의 급신장, 신용장(L/C) 대신 송금방식의 수출대금 결제 확대, 전자무역 활성화 등도 주요 트렌드 변화로 꼽혔다.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항공운송을 주로 이용하는 3대 IT 제품의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95년 26.5%이던 항공운송 비율이 올 들어서는 33.5%로 높아졌다. 그만큼 해상운송 의존도가 낮아진 것이다. 대금결제 방식도 국제화의 진전, 고정거래선 및 해외 현지법인과의 거래 증가등으로 신용장을 이용한 결제방식은 점차 줄어드는 대신 송금 방식 비율이 올 들어52.8%까지 높아졌다. 이는 수출 1천억달러 시점에 비해 배 수준으로 높아진 것이다. 또 e-트레이드를 이용한 서류없는 무역도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91년 무역자동화법 제정 이후 무역자동화 사업의 추진으로 무역절차의 상당부분을 전자화했고 이를 통해 서류의 간소화와 비용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무역협회는분석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이런 무역 트렌드 변화는 수출규모가 늘어나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확연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