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4월 07일] 착찹한 '총선 뉴타운 공약'

총선이 코앞에 다가오면서 뉴타운 후보지가 들썩이고 있다. 뉴타운 후보지에 대한 가격은 물론이고 투자자들의 문의가 쇄도하면서 총선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터져나오고 있다. 이번 총선의 빅매치 지역으로 꼽히는 한 지역이 대표적이다. 여당의 한 후보자는 “자신이 당선되면 지역구에 2개의 뉴타운을 지정하겠다”며 “오세훈 서울 시장도 뉴타운 지정에 동의를 해줬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오세훈 시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재임기간 동안 추가 뉴타운 지정은 힘들 것”이라고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했다. 정치권에서는 그의 뉴타운 공약에 대해 관권 선거라며 상대 후보를 비난하는 데 선거운동의 초점을 두고 있다. 정작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반응은 어떨까. 서울 사당동의 한 주민은 “뉴타운도 좋고 재개발도 좋지만 뉴타운 지정을 선거공약으로 내세울 수 있느냐”며 “뉴타운 관련 업무는 구청과 서울시가 추진하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구 출마자가 뉴타운을 공약으로 내세우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후보자의 이 같은 공약의 파장은 일선 중개업소로까지 확대된 상황이다. 해당 지역의 중개업소의 한 관계자는 “뉴타운 공약으로 지역 주민들은 일단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에 들떠 시세를 문의하고 있다”며 “또 일부 투자자의 경우 적극적으로 매수 문의를 타진하고 있지만 중개업소 입장에서 국회의원 출마자의 말만 듣고 물건을 중개하기도 애매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더욱 큰 문제는 뉴타운 지정 기대감에 들뜬 지역 주민들이 겪게 될 실망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울시가 추가적인 뉴타운 지정이 없을 것이라는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확산되는 지역 주민들의 기대심리가 자칫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뉴타운의 근거 법률인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은 뉴타운 사업의 목적을 ‘낙후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과 도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유권자의 기대심리를 이용해 뉴타운을 공약으로 내세운 후보나 이를 두고 관권 선거라고 비난하는 후보를 보면서 마음이 착잡하다. 보다 성숙한 정치의식과 지역 주민의 가슴을 끌어안아줄 수 있는 후보자의 당선을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