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우중씨 해외도피 정권권유設 다시 고개

귀국이후 "채권단 권유로 출국" 강조불구<br>국정원 出禁요청 청와대서 묵살 드러나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지난 99년 10월 해외도피를 한 이유를 놓고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김 전 회장이 검찰 조사에서 “채권단과 임직원 권유로 출국하게 됐다”고 밝힌 것과 달리 정치권과 대우 관계자들로부터 ‘정권 압력설 또는 권유설’이 구체적인 정황과 함께 흘러나오고 있다. 또 당시 채권단은 “김씨에게 채권단이 출국을 권유했다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논란이 증폭되고 있지만 정작 김 전 회장은 당초 주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검 중수부 관계자는 17일 “김씨가 ‘출국권유를 한 일이 없다’는 채권단측 반응을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접한 뒤에도 여전히 채권단과 임원진의 권유로 출국하게 됐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전 회장 해외도피 당시 국가정보원장이었던 천용택 씨의 한 측근은 김 전회장이 잠시 한국에 들어왔다가 나가는 과정에서 국정원이 출국금지를 건의했지만 청와대가 반대했다고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그는 또 “김 전 회장은 당시 DJ정부 경제팀과 정권 핵심부까지 등을 돌린 것으로 판단해 단 하루 만에 급하게 출국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김 전 회장이 99년 10월20일 중국 옌타이의 대우자동차 준공식에 참석한뒤 다시 한국으로 귀국했다가 21일 급히 일본으로 출국한 것과 관련, 정권 핵심부의 언질이나 움직임을 입수한뒤 전격적으로 도피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 전 회장이 중국 출국 때까지는 해외도피할 생각이 없었지만 귀국후 상황이 급박해지자 바로 일본으로 도피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앞서 김 전 회장은 지난 2003년 1월 미국 경제주간지 포천과 인터뷰에서 “김대중 당시 대통령 등 정부 고위관리의 설득 때문에 한국을 떠났다”고 밝혔다가 논란이 일자 부인했다. 이에대해 검찰은 국민적 의혹사안인 만큼 시간을 갖고 출국배경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