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 음식을 육성하고 세계화 전략을 세운 지는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농림부ㆍ문화관광부 등 관련부처들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관련학회들 역시 우리 음식 세계화 전략을 위한 다양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그러나 우리 음식을 세계화하고 식품·외식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프라의 구축이 우선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관심이 매우 적은 듯하다. 마치 씨앗은 뿌리지도 않고 열매만을 거두려는 성급함이 현 정부의 우리 음식 세계화 정책이며 식품·외식산업 육성 전략이라고 지적하고 싶다.
외식산업은 고용효과가 크고 굴뚝 없는 무공해 산업으로 선진국에서는 이미 범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도 과소비산업으로 치부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영양과 전통음식문화를 지켜나가고 관리해야 할 당위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외면하고 있지 않은가. 또한 외식산업에 관련된 부서는 많지만 정작 외식산업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육성을 전담하는 정부기관이 없어 문제해결이 요원하다.
우리 음식이 세계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식산업이 발전되고 세계화돼야 한다. 우리 음식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는 우리 음식을 취급하는 경쟁력 있는 외식기업들의 해외진출이 선행돼야 한다. 그러나 국내 유수의 외식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할 경우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고 있는지 혹은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외식기업이 얼마나 될 것인가를 판단해볼 때 솔직히 자신이 없다.
정부에서 취할 수 있는 지원정책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외식업 종사자 등 일정자격을 갖춘 자에게 해외연수 기회를 제공해 외식관련 대학졸업자가 국내에서도 취업하고 창업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 우수인력이 외식산업 전반에 걸쳐 종사함으로써 우리 전통음식의 발전과 세계화에 이바지하고 우리 음식도 한류붐을 이끌고 당당하게 로열티를 받는 날이 올 것이다.
또한 음식점 경영주들에게는 세제나 금융상의 지원을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종사자의 처우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문제는 정부의 의지다. 외식산업은 고용창출 효과뿐 아니라 국민건강과 우리 전통음식의 문화적 차원에서도 가볍게 생각할 수 없는 산업이다. 정부는 양극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로 체계적인 외식산업의 육성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