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동산 버블논쟁 뜨거워진다

일본식 버블붕괴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 재현될까를 놓고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정부 당국자ㆍ국책연구기관 등에서는 “일본과 흡사한 절차를 밟고 있다”며 보다 강력한 예방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민간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연구원ㆍ기관들은 “일본과 같은 버블붕괴의 가능성이 높지 않고 오히려 정부가 버블에 집착, 집값 하락에만 정책에 초점을 맞출 경우 더 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일본 버블붕괴와 흡사하다 = 버블붕괴가 재현된다는 근거는 80년대 말 일본의 상황 과 흡사하다는 것. 70~80년대는 가격 급등 원인이 주택공급 부족에 기인했으나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다. 80년대 일본과 마찬가지로 경기 침체기에도 불구하고 저금리에 따른 유동성 증대가 부동산 시장 과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 일본은 엔고에 대응한 저금리 정책과 경기부양책이 맞물려 투기적 수요가 부동산 시장을 휩쓸었다. 한국은행과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원 등 국책 기관에서 이 같은 점을 들어 “일본식 버블붕괴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도 재현될 여지가 다분 하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버블붕괴 가능성 낮다 = 삼성경제연구소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긴급대책`이라는 보고서에서 `버블붕괴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대한주택공사 박신영 박사 역시 “국내 부동산 시장의 경우 버블붕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거시경제적 측면에서 일본과 흡사하지만 미시적 부분인 부동산 시장 많을 놓고 볼 때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게 주장의 근거다. 버블붕괴 직전 일본은 주택담보 대출비율이 시가의 100%를 상회했다. 주택보급률 역시 110% 수준에 달했다. 아울러 상업용 부동산이 먼저 오른 뒤 주택 가격을 끌어 올렸고, 이것이 전 부동산 품목으로 연결됐다. 반면 국내의 부동산 담보대출 비율은 시가의 70~80% 수준에 불과한 데다 주택보급률 역시 100%를 갓 넘어선 상태라는 것이다. 아울러 특정 상품, 지역에 수요가 집중되는 것 등은 분명히 일본과 달라 버블 붕괴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논리다. ◇연착륙에 무게를 둬라 = 삼성경제연구소 박재룡 박사는 “버블붕괴 우려에만 몰두 초강수 정책을 내놓게 되면 정책에 의해 집값이 폭락하는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급등은 견딜 수 있어도 급락은 시장에 더 큰 부담을 준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양권 전매허용에 따른 수요의 단타화를 차단하는 한편 일부 급등 지역ㆍ상품에 몰리는 가수요를 서서히 차단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박 박사는 덧붙였다. 표 : 일본 버블붕괴 당시와 국내 현 경제상황 비교 구분 일본(80년대말) 한국(현재) 금리 저금리(엔화 강세로 인한 기업 보호) 저금리(경기 부양) 내수수요 내수수요 폭발적 증가 내수수요 위축 담보대출 시가의 100% 상업용 60%, 주거용 80% 주식ㆍ부동산 주식ㆍ부동산 동반 상승 부동산만 상승 (상업용 부동산이 주도) (일부 품목ㆍ상품이 주도) 부동산 값 폭락 경험 없음 폭락 경험(외환위기) 주택보급률 110% 100% <이종배기자 ljb@sed.co.kr>

관련기사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