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최악 치닫는 우크라이나 … 동서 충돌로 가나

대통령 군부 동원도 고려 물리적 충돌 추가 발생땐

러시아 무력 개입 가능성 EU는 중재안 수용 촉구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정부시위대가 휴전협정을 체결한 지 하루 만에 다시 충돌해 많은 사상자를 내면서 이번 사태가 우크라이나 내전을 넘어 냉전시대 이후 최대의 동서충돌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21일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야권 반정부시위대는 유럽연합(EU)에서 파견된 독일·프랑스·폴란드 외무장관 주재로 밤을 새가며 위기 해법을 논의했다.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도 야누코비치 대통령에게 각각 전화해 시위 강제진압을 중단하고 EU의 중재안을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들은 이번 논의마저 결렬되며 추가적인 물리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우크라이나의 혼돈이 전국적인 내전으로 비화해 결국 동서 양분을 초래할 것이라 경고했다.


FT는 "이날 시위대 해산과정에서 정부가 저격수를 동원했다는 루머 등이 사실로 입증된다면 이는 시민전쟁의 서막이 될 것"이라며 "추가 충돌할 경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친 EU 성향의 서부 지역과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남동부 지역의 분리독립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동서 양분 가능성을 막기 위해 결국 군부에 동원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이날 시위진압 과정에서 특수경찰에게 무기사용을 허가했고 이날 하루에만도 최소 21명 이상의 시위대가 사망했다. 영국 BBC에 따르면 시위가 다시 격화된 지난 18일 이후 희생자는 모두 77명으로 늘어났다. 앞서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19일 "국가 전복을 막기 위해 군대에 발포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밝혀 정부가 군대동원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검토해왔음을 드러냈다. 물론 우크라이나 군부는 2004년 '오렌지 혁명' 당시에도 "시민에게 총부리를 겨누지 않는다"며 러시아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중립을 고수했다. FT는 "우크라이나 군부의 성향은 친EU와 친러시아가 50대50"이라며 "대통령의 진압명령에 군부가 어느 정도 동의할지 확신하기는 어렵지만 불법적인 결정으로 군대 일부가 사태에 개입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사태가 조기 봉합될 가능성이 점차 줄어들면서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군사개입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반도는 러시아계 주민 비율이 60% 이상인 지역으로 러시아 군사기지가 있다. 내전이 촉발될 경우 러시아가 현지주민 보호를 명분으로 사태에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2008년 조지아(러시아명 그루지아) 정부가 남오세티야의 분리독립을 막기 위해 선제 군사공격을 단행하자 지역주민의 80% 이상이 러시아계라는 이유를 내세워 무력개입을 단행한 바 있다.

FT는 "러시아·조지아 전쟁의 실질적 배경 역시 조지아의 나토 가입을 막기 위한 러시아의 배수진"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영향력 강화를 위한 러시아와 EU 간 대립이 결국 냉전 이래 최대의 동서대립 기록을 새로 쓸 것 같다"고 우려했다.

앞서 EU는 이날 재무장관 회의를 열어 우크라이나 시위 진압 인사의 EU 출입과 교역을 금지하는 내용의 제재안을 결의했다.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이날 이번 사태의 파장을 반영해 우크라이나의 국가신용등급을 CCC+에서 CCC로 한 단계 더 강등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