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제조업 체감경기도 반짝 좋아졌는데…

3월 업황 BSI 14P 급등


경기회복 기대감과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기업의 수익성 개선 등으로 제조업 체감경기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41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해 31일 발표한 ‘3월 기업경기조사 결과’를 보면 제조업의 3월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57로 전월의 43보다 14포인트 급등했다. 월별 상승폭으로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지난 2003년 1월 이후 최대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해 9월까지 70선에 머물다 10월 67, 11월 54, 12월 46으로 급락했다. 올 1월에는 1포인트 반등하기도 했으나 2월에 다시 43으로 추락했다. 업황 BSI는 지수 100을 기준으로 해당 기업의 경영여건을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으면 100에 못 미치게 된다. 4월 업황을 예상하는 전망 BSI도 2월의 50보다 10포인트 높은 60을 기록했다.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좋아진 것은 환율 상승으로 수출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된데다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 일부 수출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등 수출여건이 개선됐기 때문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여기에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줄었고 과감한 재정지출 계획 등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도 요인이 됐다. 수출기업의 3월 업황 지수는 58로 전월보다 18포인트나 상승했다. 대기업 지수도 43에서 61로 18포인트 높아졌다. 중소기업은 43에서 55로, 내수기업은 45에서 57로 12포인트씩 상승했다. 제조업체들이 느끼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내수 부진(23.8%)과 불확실한 경제상황(23.7%)이 가장 많았고 환율 요인(19.4%), 수출부진(11.8%), 자금부족(6.1%)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