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하루 수면시간, 7~8시간보다 적거나 많으면…대사증후군 위험”

하루 평균 5~6시간 자면 대사증후군 위험 27%↑, 9~10시간 길게 자면 23%↑

현대인들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8시간을 넘어 더 자거나, 덜자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연구팀(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최환석 교수·여의도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주상연 교수)은 “(이런 내용을 담은) 연구논문을 해외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영양과 당뇨’(Nutrition and Diabetes) 최신호에 실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에 관한 15개의 국제학술논문을 검색, 18~50세의 대사증후군 환자 7만8,082명을 조사해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하루 평균 5~6시간 자면, 평균 7~8시간 자는 성인에 견줘 대사증후군 위험이 27% 더 높았다.


또 9~10시간 길게 자면 평균 7~8시간 자는 성인보다 대사증후군 위험이 23% 증가했다.

관련기사



최 교수는 “잠을 적게 자면 인슐린 저항이 발생하고, 많이 자면 호르몬이나 신체 리듬의 변화가 생기고 활동량이 줄어들어 대사증후군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예방하려면 적절한 수면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사증후군이란 허리둘레(남자 90cm, 여자 85cm 이상), 혈액 내 중성지방(150mg/dl 이상), HDL콜레스테롤(남자 40mg/dl, 여자 50mg/dl 이하), 혈압(130/85㎜Hg 이상), 공복혈당(100mg/dl 이상, 100미만이라도 과거 당뇨병을 앓았거나 당뇨병 약을 먹는 경우 포함) 등 5가지 주요 건강지표에서 3가지가 기준치를 넘거나 경계치에 머무는 경우를 말한다.

이런 대사증후군 기준에 해당하는 성인은 심혈관질환, 암, 사망률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하루 평균 시간이 7~8시간인 이유가 있었네”, “현실적으로 저렇게 지키기가 쉽지 않을 듯”, “주말에 무조건 많이 자던 습관 고쳐야겠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