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호주도 금리 동결등 선제적 대응 모색할 듯

[유럽위기 어디로] 주가 폭락 등에 금융정책 방향 재점검 필요성 커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먼저 금리 인상정책을 펼쳐온 호주가 그리스발 유로존 재정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금리정책에 변화를 줄 것인가. 호주중앙은행(RBA)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물가가 연간 관리목표치인 3.0%에 바짝 접근한 2.9%까지 치솟은데다 주택 가격이 불과 1년 사이 20%나 급등하자 그동안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할 것임을 시사해왔다. 하지만 호주도 그리스발 유로존 재정위기로 최근 주가가 폭락하면서 금융정책 운용 방향을 재점검할 필요가 커졌다. 증시 폭락은 개인 소비지출 감소 등의 부작용을 낳는 것은 물론 기업의 투자 의욕을 훼손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이코노미스트들은 호주 경제가 양호한 상태이기 때문에 RBA가 다음달 기준금리를 소폭 상향 조정할 것이라는 데 일단 무게를 두고 있다. 하지만 유럽 상황이 더 악화하고 주가와 환율이 출렁이면 선제적 대응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RBA는 지난 4일 열린 월례이사회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1년 전보다 훨씬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수주 사이 유럽에서 국가부도 위험이 두드러지게 높아졌다"고 지적, 이에 따른 후폭풍을 걱정했다. 이 때문에 RBA은 오는 6월 기준금리를 상향 조정하기보다는 오히려 하향 조정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점차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맥쿼리그룹 금리담당 스트래티지스트인 로리 로버트슨은 "(유럽 상황을 감안하면) RBA가 향후 수개월간 기준금리를 내리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