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기업 참여형 에너지 수급대책 마련

27일 공청회 개최 <br>산학연 전문가 의견 수렴해 8월부터 시행

에너지 인력 수급계획 작성 단계부터 기업이 참여해 고용연계성을 강화하고, 기업이 원하는 일련의 교과과정을 패키지로 묶은 ‘트랙’ 제도가 도입된다. 또한 에너지 연구개발(R&D) 예산(2010년 9,791억원)의 3.5% 수준인 인력양성 사업예산을 2015년 7% 수준으로 확대한다. 지식경제부는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에너지 분야 인력양성 체계의 혁신방안을 모색하는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에너지인력양성체계 혁신방안’을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우선 정부는 학과위주 체계를 기업중심 추진체계, 연구개발(R&D) 연계 강화, 탄력적 트랙 도입 등 기업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체계로 개편하기로 했다. 또 사업단계별 추진전략을 마련해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을 혁신적으로 바꿀 계획이다. 차세대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10개 대학 연구실을 ‘겟 퓨처(GET Future)’ 연구실로 지정해 매년 10억원까지 최장 10년간 지원하고, 대학 학부과정에 에너지 교과과정을 신설하는 경우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전력과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분야에서 산학연을 연계한 교육과정을 올해 5~10개 신설하고, 국내 인력이 해외 우수대학 전력 관련 대학원에 진학하면 장학금을 지원한다. 정부가 이러한 대책을 마련한 것은 에너지산업은 구조적으로 수주 성패에 따른 변동성이 큰 특성과 관련학과의 부족 등으로 인력수급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27일 공청회를 통해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뒤 다음달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인 에너지산업의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고 수출산업화ㆍ신성장동력화로 대표되는 에너지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