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재는 22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신흥 경제권을 중심으로 양적완화가 끝날 경우 ‘이자율 위험’이 크다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말했다. 양적완화 종료로 미국의 금리가 상승할 경우 국채가격이 떨어지면서 각국 은행이 평가손실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이런 변화가 있을 때 글로벌 금융규제인 바젤Ⅲ가 은행에 자본을 더 확충하라고 요구할 수 있느냐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세계경제가 ▦성장세를 회복한 선진국 ▦성장세가 둔한 선진국 ▦신흥국 등으로 분화하는 양상이라 ‘평균적인’ 규제를 들이대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나라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는) 확률의 문제이지만 혼자만 당하는 것이 아닐 경우 (공동의) 해결책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참석한 은행장들은 저금리ㆍ저성장으로 은행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수익성이 빠르게 떨어지는데 대응해 수익원 다변화에 나서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또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과 하방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스트레스테스트를 통해 자산건전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정부의 ‘4ㆍ1주택시장 정상화대책’ 이후 주택거래량이 늘고 있지만, 주택경기 개선이 가계부채의 급증세로 이어지지 않도록 가계대출 동향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나왔다.
이날 협의회에는 민병덕 국민은행장, 이순우 우리은행장, 서진원 신한은행장, 신충식 농협은행장, 조준희 기업은행장, 윤용로 외환은행장, 리처드 힐 SC은행장, 이원태 수협 신용대표이사 등 8개 은행 대표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