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제는 콘텐츠다] "다양한 서비스로 새 수익 창출"

KT - 비즈메카ㆍ홈엔등 새 핵심사업 집중육성<br>하나로 - 콘텐츠 기반 영상전화 등서 매출 극대화<br>데이콤 - 멀티미디어 서비스用 BcN구축 잰걸음

‘콘텐츠로 정체를 넘어선다’ 요즘 크고 작은 유선통신 사업자들의 가장 큰 고민은 하나다. 가입자 포화와 매출 정체로 한계에 이른 전화ㆍ초고속인터넷 사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것이다. 최근 KTㆍ하나로텔레콤 등 주요 통신사업자들의 움직임에서는 이 같은 위기 탈출의 해법을 어디에서 찾고 있는지 느낄 수 있다. 각 업체마다 다양한 신사업을 찾아나서고 있는데 화두는 ‘콘텐츠’로 모아지고 있다. 그동안 망(網)에만 의존해왔던 획일적인 사업구조에서 탈피, 그 위에 다양한 부가 콘텐츠를 얹어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KT, 망(網)사업자에서 토털솔루션 사업자로= 국내 최대 유선사업자인 KT는 연초 경영목표에서 휴대인터넷사업과 함께 소기업 네트워크 사업인 ‘비즈메카(Bizmeka)’ 확대를 핵심 육성 사업으로 제시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비즈메카는 기존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밸류 네트워킹 컴퍼니를 지향하는 KT의 핵심사업”이라고 설명했다. KT는 올해 비즈메카 매출을 800억원으로 잡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개별 기업단위의 솔루션 제공에서 탈피, 산업간 협업지원ㆍ상거래 지원 등으로 비즈메카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통신사업자 최초로 선보인 홈네트워크 서비스인 홈엔(HomeN) 역시 KT가 콘텐츠 기반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핵심 사업이다. 홈엔은 특히 TV 기반의 VOD 등 다양한 영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네트워크 사업자에서 탈피, 다양한 고부가가치 콘텐츠를 개발하는 토털 솔루션사업자로 거듭나기 위한 발판이다. KT 관계자는 “통신산업에서 순수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수요는 이미 충족된 상태”라며 “향후 방송ㆍ엔터테인먼트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콘텐츠 기반 서비스로 매출 극대화 추진 나선 하나로=하나로텔레콤 역시 자사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하나포스’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얹기 위한 움직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00만명의 기존 가입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를 개발, 가입자 1인당 매출을 극대화하겠다는게 하나로의 전략이다. 이를 위해 하나로는 콘텐츠 연계도가 높은 휴대인터넷(WiBro)ㆍ인터넷전화(VoIP)ㆍIP-TVㆍ광대역통합망(BcN)ㆍ영상전화 등의 신규사업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유ㆍ무선, 통신ㆍ방송 복합망 등 융ㆍ복합망과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소스 멀티유즈(One-Source Multi-Use)가 가능한 통합협 플랫폼 구축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연말 이 회사가 선보일 IP-TV는 본격적인 콘텐츠 기반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초고속인터넷망과 TV를 결합, 영화ㆍ뮤직비디오 등의 주문형비디오(VOD)는 물론 다채널 스트리밍 서비스인 IP멀티캐스팅, T-커머스 등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밖에 하나로는 오는 10월부터 IP기반의 영상전화 서비스 등 다양한 콘텐츠 기반 서비스를 개발, 포화상태에 이른 유선시장의 한계를 뛰어넘겠다는 전략이다. ◇데이콤, BcN 구축으로 콘텐츠 기반 확보 나서= 기업 통신 시장의 강자 데이콤 역시 최근 콘텐츠를 차세대 수익원으로 삼고 BcN 구축에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통신ㆍ방송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융합시대에 맞는 다양한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BcN구축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위해 데이콤은 2010년까지 기존 서비스 보다 5~10배 정도 빠른 50~100Mbps급의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BcN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방침에 발맞춰 BcN 구축 및 시범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데이콤은 특히 BcN 구축을 통해 VoIP, 유ㆍ무선 연동 멀티미디어 영상전화(MMoIP), HD급 VOD, 디지털TV 기반의 T-커머스, 전자정부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한편 홈네트워크ㆍ휴대인터넷 등에도 이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최근 정보통신부의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인 IPv6 시범사업자 선정을 계기로 IP기반의 부가서비스 개발이 급진전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데이콤은 우선 올해 시범 서비스를 시작, 오는 2006년부터는 본격적인 상용서비스를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위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전달망ㆍ가입자망ㆍ서비스망을 확충, 유비쿼터스 인프라를 조기에 완료하겠다는 복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