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 공무원 비상근무

한명숙 총리 "피해 최소화·복구 대책 마련을"

전 공무원 비상근무 한명숙 총리 "피해 최소화·복구 대책 마련을" 강동호 기자 eastem@sed.co.kr 관련기사 • 전 공무원 비상근무 • 고립 지역 주민들 고통 극심 • 전국 호우 外 이모저모 • 호우, 원인 및 전망 • 올림픽대로 통행금지 • 호우 피해 방지대책 • 안양천변 제방 붕괴… 주민 대피령 • 에너지 대책 차원 서머타임제등 검토 • 중부지방 물폭탄 사망·실종 32명 정부는 전국적인 집중 호우에 따른 수해 피해 최소화와 복구 대책 수립에 신속 대응키로 했다. 한명숙 총리는 16일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관련 공무원들에 대해 비상근무 지시를 내렸다. 이날 오전 강원도 수해지역을 둘러 본 한 총리는 중앙부처 관계 공무원들이 단계별로 비상 근무를 할 것을 지시하고, 윤광웅 국방부장관에게도 이번 집중호우에 따른 인명 구조와 수해 복구 활동에 군이 적극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소방방재청도 지난 15일 오후 6시를 기해 전국 시ㆍ도와 시ㆍ군ㆍ구 등 지방자치단체 25만6,000여명의 공무원들에 대해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전국 지자체 공무원들에 대한 비상근무체제 가동은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의 한반도 내습 이후 3번째다. 대책본부는 이날 산간계곡과 해수욕장 등의 행락객들을 긴급 대피토록 조치하고, 특히 재난위험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안전선(Safety Line)을 설치, 접근을 통제하는 등 각 지자체들이 대비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라고 시달했다. 대책본부는 또 관련부처와 지자체, 유관기관간에 상호 협조체제를 가동하고 부처별 소관시설에 대한 현장 확인 및 대형공사장 등 피해 예상지역과 시설에 대해 사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대책본부 관계자는 “오락가락하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게릴라성 호우 등으로 비 피해 발생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며 “집중호우가 내리고 있는 지역 주민들은 특히 피난로 확보 등 재난위험 발생에 대비한 사전 안전책을 미리 강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입력시간 : 2006/07/16 18:0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