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공동관리방안 무산 위기

산업은행을 주축으로 한 LG카드 공동관리방안이 결국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금융당국과 주채권은행은 16개 채권은행 및 보험사에 7일까지 공동관리방안에 합의해 줄 것을 통보했으나 이날 오후 5시까지 합의서를 제출한 기관은 우리와 산업ㆍ기업은행, 삼성생명, LG화재 등 5곳에 그쳤다. 최대변수인 국민은행이 여전히 방침을 바꾸지 않아 LG카드는 산업은행의 단독인수 등 다른 대안을 찾지 않는 한 법정관리 등 법적절차를 밟을 수 밖에 없게 됐다. LG카드는 8일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조기상환 대금 3,560억원을 결제해야 하기 때문에 당장 이날부터 현금서비스를 중단할 수 밖에 없어 `LG카드발(發) 금융혼란`이 재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2조원의 유동성 지원금액에서 LG증권 매각대금 3,500억원을 뺀 1조6,500억원을 10개 채권은행이 지원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최종 합의가 안돼 법적조치 돌입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민 등 일부 은행은 이날도 확실한 주인이 없는 은행권 중심의 공동관리방안에는 합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채권단 안팎에서는 산업은행이 지분을 추가로 늘려 사실상 단독으로 인수하거나 LG그룹이 대규모로 추가지원에 나서는 등의 대안을 막판에 극적으로 이끌어 내지 않는 한 합의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그러나 “금융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 LG카드가 끝내 영업을 중단하는 사태가 일어나기 전까지 채권은행들을 계속 설득하겠다”고 말해 막판 대타협을 통한 사태해결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