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與 계파 '내부분열' 시작되나

與 계파 '내부분열' 시작되나 '정동영 계', '참정연', '김근태 계' 등 계파 내부 균열 조짐 관련기사 • 김혁규·조배숙 사퇴… 與지도부 자동 해체 • 與 계파별 '강금실 끌어안기' • 與 원로그룹 "남은 지도부 당 수습해야" • 與 지도부 연쇄사퇴 움직임 '비대위 체제' 급부상 • 김두관 "당내 갈등 증폭시켜 송구" 5.31 지방선거 참패에 따라 열린우리당 내 혼란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각 계파 내부에서도 심상치 않은 균열 조짐이 관측되고 있다. 당내 각 계파의 수장들이 지방선거의 후폭풍으로 순간적으로 초래된 힘의 공백현상이 계파 내부의 핵분열을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동영(鄭東泳.DY) 전 의장을 중심으로 한 당내 최대계파 DY계가 대표적인 경우다. 정 전 의장은 선거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를 선언하기에 앞서 김근태(金槿泰)최고위원이 의장직을 승계하는 것으로 향후 당 체제의 밑그림을 짜놓았다. 사퇴 전날 밤 김 최고위원을 찾아가 의장직 승계를 직접 부탁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껏 친(親) DY 인사로 분류됐던 김혁규(金爀珪) 조배숙(趙培淑) 최고위원이 `지도부 일괄사퇴론'을 내세우면서 강하게 반발함에 따라 정 전 의장의 계획은 실현 여부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정 전 의장측은 두 최고위원들을 설득하기 위해 승계론에 대한 여론몰이 작업에 나섰지만, 오히려 DY계 핵심인사들 상당수가 정 의장의 `김근태 승계론' 대신 `일괄사퇴론'을 지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지방선거 전까지만 해도 여권에서 가장 유력한 차기대권주자로 꼽혔던 정 전 의장의 뜻이 계파 소속 의원들에게도 통하지 않게 된 셈이다. DY와 가까운 수도권의 한 의원은 "당의 존폐가 걸린 위기 상황인데 결과를 따져보지도 않고 무작정 DY의 생각을 따를 수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친노(親盧) 세력 내부의 균열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일단 `참정연'이라는 울타리에서 동거했던 김두관(金斗官) 최고위원과 개혁당파세력은 사이가 벌어지는 듯한 모습이다. 선거직전 김두관 최고위원의 지도부 비판발언에 대해 불편한 표정을 감추지 않았던 참정연은 김 최고위원의 거취 문제가 당의 후속 지도체제 논의 과정에서 최대쟁점으로 떠오르자 거취표명까지 요구했다. 설립자인 유시민(柳時敏) 의원이 복지부장관직 수행을 위해 당을 떠난 가운데 이광철(李光喆) 의원이 대표를 맡고 있는 참정연은 조만간 정기회원 총회를 열고 지도부를 교체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일부 친노인사들이 이번 선거패배와 관련, 우리당과 참여정부의 공동책임론을 제기하는 배경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문희상(文喜相) 의원은 지난 2일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우리당과 참여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이번 선거를 전후해서 반짝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며 "그동안 우리 개혁은 전반에 걸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김근태 최고위원이 중심이 된 재야파는 다른 계파에 비해 탄탄한 팀워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 최고위원의 대중적 지지도가 극적으로 상승하지 않는 한 재야파도 `강금실(康錦實) 대안론'이나 `고 건(高 建) 대안론'으로 핵분열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제기된 상태다. 한 재선 의원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탈당을 비롯해 민주당과의 합당, 고건 전 총리 영입 등 향후 정치지형이 급변할 것 같다는 공감대가 당내에서 확산되고있다"며 "실제 정계개편이 현실화될 경우 당내 차기 대권주자들을 중심으로 한 기존계파들은 재편되거나 분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입력시간 : 2006/06/04 10:4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