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글로벌 디지털전쟁 막 올랐다

'진화·규모·융합' 3대 트렌드가 시장 주도<br>삼성·LG전자등 디지털 韓流위력 과시속<br>소니·마쓰시타등 日업체들 추격 거세




글로벌 디지털전쟁 막 올랐다 '진화·규모·융합' 3대 트렌드가 시장 주도삼성·LG전자등 디지털 韓流위력 과시속소니·마쓰시타등 日업체들 추격 거세 라스베이거스=김현수 기자 hskim@sed.co.kr 관련기사 • 첨단기술 아니면 쳐다보지도 않는다 새해 초부터 글로벌 디지털 전쟁의 막이 올랐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CES 2006'에서는 쫓는 자와 쫓기는 자 간의 치열한 생존경쟁이 숨가쁘게 펼쳐졌다. 전세계 전자업체들이 한꺼번에 표출한 디지털 기술은 불과 나흘(지난 5~8일, 현지시간) 동안 천문학적 규모에 달하는 가전시장의 우열을 가렸다. 화려한 미래기술의 승부를 내려는 호흡이 거칠게 뿜어져 나오는 긴박한 기술전쟁의 경연장 곁에서 올해 디지털 세상의 새로운 트렌드와 글로벌 생존전략을 정리해봤다. ‘세계 최대 규모인 103인치 PDP TV와 82인치 LCD TV. 생방송을 멈추는 TV와 뉴스 보도를 통해 간간이 소개돼오던 와이브로PDA폰.’ 한결같이 글로벌 무대에 처음 선보인 규모나 기능이다.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지난 5~8일 열린 ‘2006 International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는 ‘소리 없는 디지털 전쟁’이 치러졌다. 전세계 2,500여개 업체가 지난 1년간 축적된 최고 기술력으로 만든 제품을 선보이는 CES 현장. 올해의 히트 예상 품목을 살펴보려는 매서운 눈초리의 빅바이어들과 디지털 가전의 추세를 확인하는 전자업계 전문가 및 CES 자체의 화려한 볼거리를 즐기려는 관람객 등 총 13만명이 북적대는 이곳은 말 그대로 ‘1년 농사가 결정되는 세계 최대 시장’이었다. CES에서 나타난 2006년 디지털 가전 패션은 무엇일까. 올해의 디지털 트렌드는 ‘ABC’라는 말로 깔끔하게 정리된다. 끊임없는 신기술 개발에 따른 디지털 가전의 진보(advanced), 점점 더 커지는 디스플레이의 크기(bigger), 서로 다른 영역 간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융합(convergence)이 그것이다. CES 전시장 센트럴홀에 있는 삼성전자 부스. 마치 LCD TV로 쌓아올린 성(城) 같은 삼성전자 전시장에서는 ‘디지털 가전의 진보’가 한눈에 드러났다. 디지털TV에서 개인휴대용 미디어, 차세대 통신기술 등 하나하나가 현존하는 최고의 디지털 기술로 인정받고 있었다. 이곳을 찾은 방문자들은 일단 고개부터 끄덕인다. ‘디지털 한류’의 위력을 음미할 수 있는 장면이었다. CES에서 선보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비스타,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Ⅲ 등도 디지털 기술이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다는 증거였다. 국내 기업이 몇 년간 경합했던 크기 경쟁이 올해는 일본 파나소닉사로 넘어갔다. CES 센트롤홀 입구에 마련된 파나소닉 부스에는 103인치 PDP TV가 등장해 단 1인치 차이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주거니 받거니 했던 ‘최대 PDP 개발업체’의 영예를 차지했다. 크기에 승부를 거는 다른 한쪽에서는 컨버전스 바람이 CES를 휩쓸었다. MP3에 저장장치는 기본이고 디지털카메라ㆍ캠코더ㆍDMB방송 기능까지 갖춘 제품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디지털TV의 경우도 크기와 화질뿐 아니라 하드디스크를 넣어 저장장치 기능을 갖추거나 PCㆍ셋톱박스ㆍDVD플레이어 등의 IT기기들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했다. 디지털 패션 트렌드인 ABC와 함께 주목을 끌었던 것은 일본 가전업체의 반격. 소니ㆍ파나소닉ㆍ마쓰시타 등 아날로그 시절 세계시장을 주도했던 일본 가업업체들은 삼성전자ㆍLG전자 등 한국 기업이 주도하는 디스플레이ㆍ퍼스널미디어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온 힘을 쏟기 시작한 모습이었다. 입력시간 : 2006/01/08 17:0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