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불안한 최강희호 키워드는 세트피스·선제골

월드컵 최종예선 4차전<br>이란 원정 0대1로 석패

'이란 원정 징크스'에 또다시 발목 잡힌 축구 대표팀이 무거운 과제를 안고 휴식기에 들어갔다.

대표팀은 17일(한국시간) 이란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4 브라질 월드컵 최종예선 A조 원정 4차전에서 후반 30분 하바드 네쿠남에게 골문을 열어줘 0대1로 졌다. 2승1무1패(승점 7)가 된 한국은 이란과 승점은 같고 골득실에서 앞서 조 1위는 지켰지만 역대 이란 원정 성적 2무3패로 무승의 사슬은 끊지 못했다. 또 조 3위인 우즈베키스탄(승점 5)에도 2점차로 쫓겨 AㆍB조 1ㆍ2위에 주어지는 본선 직행 티켓을 장담할 수 없다. 최종예선 5~8차전은 내년 3월부터 재개된다. 다음달 14일 있을 호주와의 평가전을 기점으로 치열한 재정비에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트피스 실점, 고질병 되나=이란전 실점도 세트피스(프리킥ㆍ코너킥 등)에서 나왔다. 왼쪽 코너 부근에서 올라온 프리킥을 문전에서 일단 걷어내기는 했지만 처져 있던 네쿠남을 자유롭게 놔뒀다. 대표팀은 지난달 11일 치른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3차전(2대2)에서도 두 골 다 코너킥으로 허용했다. 세트피스에서의 미숙한 대응 탓에 두 게임 연속으로 경기를 그르친 것이다. 선수들 간의 순간적인 의사소통과 사람을 먼저 쫓는 철저한 대인마크가 절실하다.

관련기사



◇원정 선제 실점은 치명적=한국은 최종예선 네 경기를 치르는 동안 세 경기에서 선제골을 내줬다. 우즈베크 원정과 이란 원정에서 선제골을 허용하는 바람에 고전을 면하지 못했고 1차전인 카타르 원정에서는 첫 골을 뺏긴 뒤 네 골을 몰아쳐 4대1로 이겼다. 하지만 카타르는 상대적으로 약팀이었다.

원정에서의 선제 실점은 한 골 이상의 치명타로 작용하게 마련. 이란전에서도 상대가 한 골을 넣고 '수비 올인'으로 잠그기에 들어가자 퇴장으로 인한 수적 우세도 소용없었다. 여기에 걸핏하면 넘어져 일어나지 않는 중동 특유의 시간 끌기까지 가세했다. 최강희 감독은 "선취골 싸움에서 좋은 기회를 못 살렸다. 선수들이 급하니까 롱킥을 하게 되면서 경기 내용이 더 안 좋아졌다"며 아쉬워했다. 남은 네 경기 중 원정은 내년 6월 있을 레바논전 한 경기. 대표팀이 2차전에서 3대0으로 크게 이겼던 상대지만 홈에서의 레바논은 이란도 꺾을 만큼 강팀으로 돌변한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