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선관위 총선비용 실사 제자리걸음

선관위 총선비용 실사 제자리걸음후보자 회계장부 짜맞추기·전문인력부족 성과 미흡 선관위의 4·13총선 출마자 선거비용 실사작업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총선출마자들의 선거비용 초과 지출 여부를 가리기 위한 선관위의 작업이 후보자의 교묘한 회계장부 「짜맞추기」와 실사인력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선관위는 당초 선거후 1개월 이내에 제출토록 돼있는 각 후보자의 수입지출 보고서에 대해 1주일간 서면심사를 하고 1개월간 현지실사를 거쳐 6월 하순 선거비용실사와 초과 지출자에 대한 고소·고발 조치를 마무리, 선거법 위반 당선자의 의원직유지 기간을 최소화하고 검찰의 수사기간을 충분히 확보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선관위는 이를 위해 지난 5월 22일부터 전국 227개 선거구에 중앙실사반 50명등 선관위 직원 1,500여명과 국세청 직원 300여명 등 1,80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현지실사를 벌였으나, 후보자들의 회계장부가 과거보다 훨씬 정교하게 작성돼 허점을 찾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선관위의 실사작업은 특히 회계장부 짜맞추기, 선거 관계자들의 비협조, 제보부족 등으로 인해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선관위 관계자는 9일 『지난 95년 6·27 지방선거에서 비용실사가 도입된 이후 후보자들의 회계장부 작성이 점차 교묘해졌고, 선거 관련 업체·운동원들과 철저하게 입을 맞추고 있다』며『15대 총선때처럼 허술하게 회계장부를 작성해 적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현재 경합지역 후보자와 선거법 위반행위가 잦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실사인력을 집중투입하고 있다. 특히 기부행위에 중점을 두고 실사작업을 벌이고 있다. 선관위는 일단 시·도 선관위별로 수입지출보고서 열람기간이 끝나는 오는 20일을 전후해 주요 선거비용 초과지출 후보에 대한 고소·고발 작업을 마무리하겠다는방침이다. 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가 오는 10월13일로 종료되는 점을 감안, 최소한 2개월전에는 고소·고발 조치를 마쳐야 검찰의 충실한 수사를 기대할 수 있기때문이다. 선관위는 수입지출보고서 열람기간 종료시까지 최대한 제보를 확보한다는 방침이지만 현재까지의 미미한 성과로 미뤄 별다른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 양정록기자JRYANG@SED.CO.KR 입력시간 2000/08/09 17:53 ◀ 이전화면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