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구조조정 대상 저축銀 소폭 늘듯

구조조정 대상에 오르는 저축은행의 숫자가 당초의 61개 은행보다 소폭 늘어날 전망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하는 조건으로 경영개선협약을 맺었던 기존 61개 저축은행들과 별개로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 결과 부실 가능성이 감지된 저축은행들에 대해 추가 협약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금감원은 각 저축은행이 제출한 경영개선계획 심사 및 협의를 거쳐 이달말 협약을 맺을 계획인데 기존의 61개 저축은행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곳이 한 자릿수 수준에서 추가될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협약 체결 대상으로 선정된 저축은행들에 대해서도 PF 채권을 매각한 61개 저축은행들과 비슷한 수준의 자구노력을 요구할 예정이다. 자구노력의 방법으로는 자본확충(대주주의 증자나 계열사 매각, 후순위채 발행, 외부투자자 유치)과 자산건전성 제고(부실채권 회수, 대손상각), 구조조정(인수ㆍ합병, 인력 구조개선) 등이 검토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또한 해당 저축은행들에 대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을 기준으로한 재무비??개선 계획도 실행할 것을 협약에 포함시킬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