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中 소비시장 연 15%씩 확대… "성장성 커 수혜 기대할만"

[관심 커지는 中 소비재펀드]<br>13억 인구 내수시장 잠재력 무궁무진<br>한투 등 자산운용사 다양한 상품 선봬<br>다른 지역·섹터 추가 위험분산 펀드도

중국이 2015년 이후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등극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 소비재주에 투자하는 펀드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자산운용사 직원들이 중국 소비재에 투자하는 자사의 펀드를 소개하고 있다.


중국 소비시장이 빠르게 팽창하면서 중국소비재펀드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소비시장은 1980년 이후 연평균 15%씩 상승, 지난 2008년엔 세계 소비 5대 소비국에 진입했고, 2015년 이후엔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등극할 전망이다. 특히 도시지역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13억 인구의 내수시장은 무궁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중국의 도시화율은 50% 수준으로, 선진국 평균인 85%를 크게 밑돌고 있다. 그만큼 소비재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춰 자산운용사들도 다양한 중국소비재펀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투신운용은 최근 '한국투자 중국 소비성장 수혜주 펀드'를 출시했다. 이 상품은 '중국 소비재'에 대한 넓은 의미의 해석을 통해 지역과 섹터를 확장한 것이 특징이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기업 80%, 중국 외 다른 국가의 기업 20%로 나눴다. 중국 외 기업으로는 명품소비 증가로 수혜가 예상되는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에르메스 등 유럽 명품업체와 한국의 전기전자(IT), 화학, 자동차, 음식료 업체로 채워졌다. 섹터는 필수소비재 외에 IT, 자동차 등 고급소비재까지 확장했다. 김의년 한투운용 글로벌운용팀장은 "일반 중국소비재펀드와 달리 ▦소비고급화 ▦산업고도화 ▦사회안전망 개선 등 소비성장에 따라 구조적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투자범위를 확대해 '질적 성장'까지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 펀드는 한국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에서 가입할 수 있다. 클래스A 기준으로 선취판매수수료 1.3%, 연보수 1.578%이고, 환매수수료는 30일 미만의 경우 이익금의 10%다. 삼성자산운용은 전통적 의미의 중국소비재펀드 '삼성 차이나컨슈머 펀드'를 판매 중이다. 이 펀드는 중화권 증시에 상장된 종목 중 보승국제, 아지센, 강사부홀딩스 등 중국 관련 소비재주에 투자한다. 특히 민간 내수시장과 밀접한 백화점, 생활용품, 가전제품, 건강식품, 금융, 자동차 등 중국의 소비패턴에 강력한 수혜를 입는 종목에 집중한다. 폴린 댄 삼성자산운용 홍콩현지법인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는 "중국인들의 소득증가 속도가 국가성장률을 추월하기 시작했고, 중국의 성장축도 수출에서 내수로 이동 중"이라며 "이런 중국인의 소비패턴을 주요 컨셉으로 접근한다"고 말했다. '삼성 차이나컨슈머 펀드'는 삼성증권에서 가입할 수 있다. A클래스의 경우 펀드 보수는 선취수수료 1%, 연보수 1.88%이고, 30일 이내 환매할 경우 이익금의 10%를 부과한다. 중국의 소비재에만 투자하지 않고, 다른 지역이나 섹터를 하나씩 추가해 위험을 분산시킨 상품도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 친디아컨슈머 펀드'는 인도의 소비재 관련기업에도 함께 투자하는 상품.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국가별 비중은 중국 47.49%, 인도 29.45%, 홍콩 15.12%, 기타 0.99% 등이고, 업종별 비중은 식음료ㆍ담배 32.20%, 자동차 13.84%, 가정 및 개인용품 9.20%, 기본식료품 8.03%, 소프트웨어 7.31% 등이다. 클래스 A 기준으로 선취판매수수료 1%, 연간보수는 1.85%다. 하나은행, 대우증권, 한국투자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에서 판다. 하이자산운용의 '하이 차이나 인프라-컨슈머 펀드'는 중국의 도시화 진행에 따라 인프라산업에도 함께 투자하는 펀드다. 인프라 관련기업과 소비재기업을 합쳐 70%를 투자하고, 나머지 30%는 중국 내수기반 우량기업군에 투자한다. 판매사는 하이투자증권과 HMC투자증권이고, 클래스 A기준으로 선취판매수수료는 1.0%, 연보수는 1.885%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