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건설사도 "판교에 올인"

돈 벌고 인지도도 높이고 '기회의 땅' 인식<br>일부업체 "손해도 감수할 것" 출혈경쟁 우려

건설업체들이 판교 신도시 공동주택용지를 분양받기 위해 과당 출혈경쟁까지 벌일 태세다. 일반인이 판교 신도시 아파트에 당첨되면 로또 못지않은 수익이 기대되듯 건설업체 입장에서도 판교 신도시는 돈도 벌고 인지도 또한 높일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건설업체들과 시행사들은 채권입찰제가 적용되는 25.7평 이상의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는 택지를 분양받기 위한 전략 짜기에 분주하다. 채권입찰제 아파트는 채권액을 가장 높게 써내는 곳에 택지가 공급되는 방식이다. 업계에서는 주변 분당 신도시의 시세를 감안하면 채권입찰제 아파트가 평당 2,000만원 정도에 분양돼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A건설의 한 관계자는 “분당에서 제일 비싼 파크뷰의 평당 시세가 2,000만원 안팎인데 판교는 분당보다 주거환경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른 업체의 움직임을 보고 채권액을 결정하겠지만 다소 무리를 하더라도 택지를 분양받을 작정”이라고 말했다. 일부 건설업체들은 손해를 감수할 생각도 하고 있다. 중견업체인 B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판교 신도시 분양은 눈에 보이는 수익이 문제가 아니라 엄청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서 “중견업체인 우리로서는 단번에 인지도를 얻게 되는 다시 없는 기회”라고 말했다. 자금력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C건설사는 택지공급 확률을 높이기 위해 블록별로 채권액을 다르게 써 여러 블록에 입찰하거나 관계사를 동원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 일부 시행사들은 지난해부터 판교를 노리고 사업을 보류하고 있으며 중소업체간에는 컨소시엄 구성 협의도 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건설업체들의 과열경쟁 양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판교가 2,000만원대의 고가에 분양되면 수원과 분당 등 주변 도시의 집값도 덩달아 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평당 분양가가 최고 1,000만원에 책정될 것으로 전망되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전용면적 25.7평 이하) 아파트의 청약경쟁을 더욱 부추길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김영진 내집마련정보사 사장은 “판교 중대형 아파트의 분양가가 치솟는 것은 시장원리를 무시하고 소형 아파트의 분양가를 제한한 정부의 책임이 크다”며 “소형 아파트를 분양받으면 수억원의 차익이 예상되니 국민의 관심이 온통 판교에 쏠리고 건설업체들도 분양가에 상관없이 사업에 성공할 것이라는 확신에 차게 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