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권사들, IB 강화 '올인'

■ 한국형 IB가 살 길이다<br>자통법 시행 임박에 수익악화·경쟁심화 돌파위해

국내 증권사들이 투자은행(IB) 부문 강화에 ‘올인’하고 있다. 내년 2월로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이 코앞에 다가온데다 최근 증시침체에 따른 수익악화와 신규 증권사의 대거 진입에 따른 경쟁심화를 돌파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풀이된다. 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올 들어 전사적 차원에서 ▦대규모 인수합병(M&A) 중개 ▦글로벌 IB 인프라 구축 ▦IB 인력확대 등 IB 부문에서 새 수익 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우증권은 곧 미국 대형 금융회사의 국내 진출과 관련해 수조원대의 M&A를 위한 자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증권사가 외국 대형사에서 초대형 M&A건을 수주했다는 측면에서 국내 IB 산업의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우증권이 산업은행 IB 부문과의 적극적인 정보 및 인적 교류를 통해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 증권사와 은행 간의 IB 시너지 발휘의 시금석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증권은 글로벌 IB 업무능력 강화를 위해 홍콩에 리서치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증권사가 해외에 리서치센터를 설립하는 것은 미래에셋증권(홍콩)과 우리투자증권(베이징)에 이어 세번째다. 삼성증권은 올해 말까지 20~30명 규모로 센터를 세우고 내년부터 가동에 돌입, 오는 2010년에는 인원을 100여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증권은 또 현재 홍콩에 있는 해외 IB 업체 인수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증권사들은 IB 인력 확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대우증권ㆍ삼성증권ㆍ우리투자증권 등 상위 3개사의 IB 인력은 지난해 말 559명에서 지난달 말 728명으로 무려 30%나 증가했다. 우리투자증권은 지난해 말 119명에서 올해 말 170명으로 늘리고 삼성증권도 2010년에는 지금보다 두 배나 많은 50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자기자본투자(PI)도 늘리고 있다. 현대증권은 지난 상반기에 업계 최초로 PI를 통해 일본의 상업용 부동산을 매입했으며 대신증권은 PI 부문을 새로 설립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