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0년 세계시장 5% 점유"

기술 국산화등 항공정비산업 발전방안 마련



정부는 항공정비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우리나라 항공정비 산업 규모를 오는 2020년까지 4조원으로 끌어올리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5% 수준으로 높이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말 1조1,890억원의 3배가 넘는 규모다. 정부는 이를 위해 항공정비 단지를 조성하고 연구개발(R&D) 사업 지원을 강화해 우리나라를 환태평양 지역을 주도하는 항공정비 산업 선진국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국내 항공기 운항 지원과 비행 안전성 확보에 필수 분야인 국내 항공정비 산업을 발전시켜 항공사고를 예방하고 항공정비 기술 강국으로 만들기 위한 '항공정비 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항공운송 산업은 세계 8위 수준으로 성장했으나 항공정비 산업은 항공사의 자가정비 위주에만 치우쳤다. 이 때문에 고급 정비기술과 시설부족 등으로 국내 민간 항공기 정비 수요 중 연간 약 4,000억원 규모의 핵심 정비를 미국·호주 등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대한항공은 일부 엔진 등의 정비를, 아시아나항공은 항공기 및 엔진 등의 정비를 각각 미국이나 대만 등에 해마다 1,000억~2,000억원 수준의 계약을 맺고 외주를 주고 있다. 세계 항공정비 시장은 지난 2008년 기준으로 451억달러 규모로 매년 4.3%씩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약 1.8% 수준인 8억2,000만달러에 불과하다. 정부가 이번에 마련한 항공정비 산업 발전방안의 주요 내용은 ▦운항정비(인천ㆍ김포) ▦엔진정비(창원ㆍ부천) ▦기체정비(김해) 등 정비 분야별로 특화하도록 유도하고 2015년까지 신규 항공정비업 투자를 위해 관련기관(지식경제부ㆍ국방부ㆍ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해 새로운 항공정비 단지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항공정비 단지는 인력과 시설 인프라, 접근성 등 항공정비의 특수성과 투자수요 및 공항 배후 입지의 활용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다. 핵심 항공정비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한 R&D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10월까지 항공정비기술 관련 로드맵을 마련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항공정비 산업 제도의 선진화를 위해 관련 항공법을 개정해 항공정비업 등록 요건을 완화하고 항공정비 품질관리도 강화할 방침이다. 또 시설과 기술ㆍ인력 등 국가 항공정비 인프라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ㆍ제공하는 '국가 항공정비 산업 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을 내년부터 구축해 항공전문 정비업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항공정비 단지의 활성화 등을 통해 항공기 기체와 엔진ㆍ부품 등 전 분야에서 원스톱 정비 서비스가 이뤄지는 여건을 조성해 우리나라의 항공정비 수준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