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리더, 새로운 대한민국] '소통의 리더십' 발휘 필요
'쪼개진 대한민국' 통합이 선진화 첫 걸음중산층 육성·균형발전으로 이념·지역갈등 풀어야언론과 불화 해소·소통 제도적 장치 마련도 절실
온종훈기자 jhohn@sed.co.kr
이상훈기자 shlee@sed.co.kr
관련기사
국민 신바람 에너지를 깨워라
'소통의 리더십' 발휘 필요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내세우는 2008년 신발전체제를 통한 대한민국 선진화의 핵심전략은 ‘경제 살리기’와 ‘국민통합’이다. 이중 국민통합은 선진화로 명명되는 우리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기본조건이다.
◆ 국민 화합은 미래의 기초=이 당선자 측 입장에서 국민통합은 국민 모두가 지혜를 모아 해결해야 할 시대정신이자 국가과제다.
이 당선자가 20일 기자 간담회에서 화합에 대해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며 변화는 우리 산소”라고 규정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지난 반세기 만에 이룬 우리 경제의 압축성장 과정에서 빈부 간, 지역 간, 노사 간, 좌우 이념세력 간 분열과 갈등이 과도하게 팽창했으며, 특히 이는 대한민국의 도약을 저해하고 우리의 정신과 문화를 해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가 대선기간 동안 “우리가 하나가 되지 못하고 어떻게 미래를 말하고 통일을 이야기할 수 있는가”라고 누차 말한 것도 정치투신과 대권도전 과정에서 느낀 우리 사회의 분열상을 체감했기 때문이다.
이 당선자는 이 때문에 선진화라는 국정목표와 세계 7대 강국 진입을 위해 무엇보다 국민화합과 대통합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을 선언한 것이다.
◆ 벽을 허물어 긍정적 에너지를 확산시켜라=이 당선자는 후보시절 경제 살리기와 국민통합특별위원회 등 양대특위를 발족시켰다.
특히 그가 그토록 혐오하는 여의도식 정치를 탈피하고 국민통합을 통해 긍정적인 에너지를 확산시키겠다는 것이 통합의 기본정신이다.
이를 위해 참여정부의 실패가 많은 참고가 됐다. 섣부른 좌파이념과 국정운영의 무능으로 사회 각 분야의 갈등을 유발한 만큼 틈을 메우고 봉합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한나라당 국민통합특위는 앞으로 사회 각 분야의 갈등을 조정ㆍ관리ㆍ제도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생분야 못지않게 갈등조정전담기구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하고 전담 비서관을 두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당선자 측은 2008년 신발전체제에서 국민ㆍ사회 통합의 주요 주체는 중산층이므로 이들의 긍정적 에너지를 사회 전체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특히 국민통합을 위해 시민단체(NGO)들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그동안 정부의 재정지원정책에만 의존해온 시스템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 지역ㆍ이념 갈등을 넘어야=이번 대선 결과 과거 대선에 비해 지역대립구조가 상당히 옅어졌지만 본질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전히 영남지역은 한나라당의 텃밭으로, 호남지역은 대통합신당 등 여권의 텃밭으로 남았다.
결국 대선 결과로만 볼 때 우리 사회의 지역화합은 요원하다. 지역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는 지역균형발전 문제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과거의 균형발전이 ‘수도권 성장억제가 곧 지방발전’이라는 도식에 근거했다면 앞으로의 균형발전은 양측이 공동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여기다 지역갈등의 요소를 정치ㆍ제도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세분화해 보다 섬세한 접근과 해결이 필요하다.
이념갈등에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 전반이 탈이념화하고 있음에도 정치 등 우리 사회의 상부구조는 진보니 보수니 하는 이념과잉에 처해 있음을 명확히 인식하고 차기 정부의 노선으로 내세운 ‘실용노선’의 내용을 좌우 균형되게 채워나갈 필요가 있다.
◆ 정부ㆍ언론 갈등 해결이 시급하다=참여정부 실패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언론과의 불화’라는 지적이 있다.
특히 정권 말 벌어진 정부 부처 기자실 폐쇄와 통폐합 등 이른바 취재지원선진화방안은 이 같은 갈등이 최정점에 달했음을 보여줬다.
이 당선자는 그동안 언론과 크게 불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참여정부를 인수인계해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신경 쓰지 않으면 참여정부식의 언론관이 고착될 우려가 있다.
정권인수 과정에서 이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언론자유는 건강한 소통을 이루는 정부의 초석이다.
◆ 소통을 제도화해야=전문가들은 참여정부의 실패를 소통의 실패라고 봤다. 결국 정부기능은 갈등의 조정과 통합을 근본으로 하나 소통에 실패함으로써 국정운영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제성호 중앙대 법대 교수는 이 당선자 측에 “먼저 선거로 찢어진 국민을 하나로 묶는 대통합 선언이 시급한 과제”라며 “반대 정파가 발목을 잡으면 새 정부는 추동력을 발휘할 수 없다. 자신을 반대한 유권자 또한 대한민국호의 동승자다. 그들의 닫힌 마음을 열어 지향하는 미래를 함께 바라보게 해야 한다”고 국민통합을 요구했다.
임혁백 고려대 정치학과 교수는 “참여정부의 실패를 교훈 삼아 소통을 제도화하는 데 힘써야 한다”며 특히 대선에 패배한 상대당과 노무현 대통령과의 회동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입력시간 : 2007/12/20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