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친박복당 해결 실마리 풀었다

李대통령·姜대표 회동, 일괄복당 사실상 수용<br>여권 권력구도 재편… 계파갈등 재연 가능성도

친박복당 해결 실마리 풀었다 李대통령·姜대표 "원하는 의원들에 문호개방"박근혜 사실상 수용속 계파 갈등 가능성도 권대경 기자 kwon@sed.co.kr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가까운 친박(親朴) 인사들의 한나라당 복당 문제가 해결국면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여당이 내부결속과 화합을 통해 쇠고기 정국을 뚫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 친박인사 복당은 여권 내 권력구도 재편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복당으로 세력 균형을 이룬 친이-친박 간 힘겨루기가 당내 주도권 쟁탈전 양상으로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당청, 일괄 복당 사실상 수용=이명박 대통령과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2일 청와대에서 주례회동을 갖고 '입당ㆍ복당을 원하는 의원들에게 최대한 문호를 개방한다'는 데 합의했다. 강 대표가 밝힌 복당 기준과 범위는 ▦낙천ㆍ탈당 후 당선돼 결격사유가 없는 의원 ▦입당ㆍ복당을 원하는 친박계 및 순수 무소속 의원 등의 경우 해당행위와 도덕성 심사 후 복당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공식 확정했다. 당은 이번주 중 중앙당에 당원자격심사위원회를 두고 본격적인 복당 절차에 착수할 방침이다. 당원자격심사위는 위원장(사무총장)을 포함, 5명으로 구성되며 과반수 출석ㆍ찬성 의결 후 심의 결과를 최고위에 보고해 심사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강 대표가 밝힌 기준에 따르면 친박무소속연대의 김무성ㆍ유기준 의원 등 8명과 친박연대의 박종근 의원을 포함해 9명은 즉각 복당 대상자에 해당되나 나머지는 별도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기소된 서청원ㆍ양정례ㆍ김노식 의원은 당헌ㆍ당규에 걸려 복당이 어렵다. ◇계파 갈등 재점화 단초 될 수도=해결 국면이 보이지 않던 복당 문제를 청와대와 당이 전격 풀기로 한 것은 당내 갈등을 우선 해결한 뒤 국정쇄신의 수순을 밟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복당은 여야 간 원구성 및 7월 전당대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요 상임위원장과 간사직을 놓고 친이-친박 의원들 간 물밑 경쟁이 예상된다. 쟁점이 되는 법안 처리시 상임위에서 자파의 입지가 탄탄할수록 당내에서 목소리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또 당권경쟁에서 당 대표는 물론이고 되도록 많은 수의 최고위원 자리를 확보해야 하는 정치력도 발휘해야 한다. 때에 따라서는 계파 간 갈등으로 당이 내홍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박근혜 전 대표는 이날 친박연대ㆍ친박무소속연대 의원들과 만난 후 "이 문제는 저한테 다 맡겨 결정해 행동 통일을 하기로 의견일치를 봤다"며 "이제 더 이상 복당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고 사실상 수용의 뜻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