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초·중·고생 학력 수준 고학년 일수록 떨어져

교육부, 학업성취도 조사

초ㆍ중ㆍ고생 학업성취(학력) 수준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해가 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도시와 중ㆍ소도시 학생이 읍ㆍ면지역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지난 2003년 10월 말 전국 초등 6년생과 중 3년생, 고 1년생의 약 1%인 전국 573개교 1만8,843명을 대상으로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실시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교과별로 교육과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 가운데 반드시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필수 학습요소를 뽑아 평가한 뒤 우수학력(대부분 이해), 보통학력(상당 부분 이해), 기초학력(부분적 이해), 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범주화했다. 자료에 따르면 국어ㆍ사회ㆍ수학ㆍ과학ㆍ영어 등 모든 과목에서 기초학력 이상을 성취한 학생은 초6 95%, 중3 89%, 고1 88%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졌다. 단순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교육부 설명에도 불구하고 처음 조사된 2001년이나 2002년과 비교하면 기초학력 미달자 비율은 초등생은 1%→4%→5%로, 중학생은 5%→7%→11%로, 고교생은 6%→10%→12%로 각각 높아졌다. 기초학력 미달자는 초등생의 경우 과학 4.8%, 수학 3.7%, 중학생은 수학 11.5%, 과학 9.5%, 고교생은 과학 12.5%, 수학 10% 순이었다. 그러나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기초학력 미달 수준은 다른 나라의 경우 대체로 30~40%에 달하고 2003 학업성취도 국제비교평가(PISA 2003) 조사에서도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는 중학생 수학과 고교생 과학에서 남학생이 약간 높았을 뿐 모든 학년, 모든 과목에서 여학생이 높았고 그 차이는 초등생 영어가 가장 컸다. 지역별로는 전학년ㆍ전과목에서 읍ㆍ면지역이 대도시 및 중ㆍ소도시보다 떨어졌고 대도시 및 중ㆍ소도시를 비교하면 초등생은 모든 과목에서 대도시가, 고교생은 모든 과목에서 중ㆍ소도시가 높았으며 중학생은 사회ㆍ과학이 중ㆍ소도시가 높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