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로봇이 먹는 물 관리, 상수도 관망 조사

환경부, 태백시서 시범사업 실시…70여억 투입 전국 확대 방침

지하에 매몰돼 있는 상수도의 관망 관리에 최첨단 로봇을 투입하는 시범 사업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5일 지식경제부와 로봇시범사업 MOU를 체결했으며, 앞으로 3년간 7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 R&D 사업으로 개발된 로봇을 태백시 등 현장에 투입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게 된다. 환경부는 특히 “국내 최초로 상수도 관망 분야에 로봇시스템을 접목하는 사업은 IT(정보기술)ㆍET(환경기술)ㆍRT(로봇기술)을 융합한 기술로 국내 상수도 관망 관리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 동안 금속 탐지기나 누수 음파탐지기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상수관망을 조사하거나 과학적인 진단과정 없이 단순 경과년수(21년 이상) 자료를 토대로 관망교체를 실시했다. 그러나 개발된 로봇을 이용할 경우 지하에 매설되어 조사하지 못했던 관내부의 실제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 환경부는 또 “상수관이 매설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보수 공사 시 어려움이 있던 부분을 로봇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경과년수 만을 고려하여 관망을 교체했으나, 앞으로는 세척ㆍ갱생 로봇으로 문제 부분만 갱생할 경우 관로의 수명연장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전국 상수관망 총 연장 15만 4,435㎞ 중 21년 이상된 노후 상수관망은 3만 5,635㎞(23.1%)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