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항 항운노조 파업 예고

협상결렬…25일께 쟁의조정 신청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물류대란을 겪은 끝에 간신히 정상화에 접어든 부산항이 이번에는 부두 노동자 단체인 항운노조의 파업예고로 또다른 위기를 맞고 있다. 부산항운노조는 20일 부산항 상용 5개 부두의 8개 운영사 대표들과 제47차 단체교섭을 가졌지만 쟁점사항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항운노조는 25일께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조정기간 중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해 쟁의행위를 결의하기로 했다. 항운노조 측은 “이르면 1단계로 다음달 6~7일께 상용 5개 부두에서 쟁의행위에 돌입하고 상황 진전이 없을 경우 2단계로 부산항 전체를 대상으로 쟁의행위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선언해 또 한차례 홍역을 치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항운노조 측은 이날 협상에서 지난해 1월 항만 상용화(도급제에서 월급제로 전환)로 노무인력의 희망퇴직자가 발생한 것 등을 감안한 부두별 적정인력 산출, 물량증가로 인한 노동강도 증가에 대한 임금보상 등 상용화 시행에 앞서 맺은 노사정 협약의 준수를 요구했다. 그러나 부두 운영사는 “부산항의 각 부두 운영사들이 적자를 면하지 못하는 등 경영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임금보상 등 항운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맞서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이로써 지난해 1월 상용화 시행에 앞서 정부 주선으로 상용화 이후 물동량 변화추이를 임단협에 반영하기로 한 노사합의를 근거로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단체교섭은 협상 11개월 만에 파업이라는 극한 상황으로 치달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항 5개 상용화 부두의 항운노조 조합원은 820명이며 이들을 포함해 전체 조합원은 8,000여명에 달해 항운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수출입화물의 선적 및 하역작업중단 등 화물연대에 못지않은 큰 피해가 우려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