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의 경영환경은 경제적ㆍ기술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무역의존도가 높으면서 변동환율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기업이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가장 고심하는 요소가 환율의 예측치일 것이다.
지난해 국내 전체 상장 제조업체의 평균이익률이 5.1%인데 지난 52주 원화의 환율은 엔화와 달러 대비 15~20% 등락했다. 우리 기업이 환율변화로 겪고 있는 고충을 짐작할 수 있다.
인위적으로 환율을 올리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을 높여 경제성장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경기회복이 지나치게 빨라지면 경제성장의 온기가 퍼져나가기도 전에 물가가 상승하고 왜곡된 외화유입으로 환율이 급속히 하락하게 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을 6.1%로 상향 조정하면서 원화가 저평가돼 있고 성장과 물가 안정의 균형을 위해 금리인상 등의 출구전략이 필요하다는 발표를 했다.
미국ㆍ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더블딥(이중침체)의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으나 고원율에 힘입어 우리나라는 이미 회복국면을 거쳐 확장국면으로 접어든 것이다.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국가 재정건전성이 향상되고 환율 하락이 예측되면서 외국인들이 올 7월 말까지 국내 시장에서 순매수한 원화채권금액이 49조원에 달하다.
중국이 외환보유액 다변화를 위해 미국 국채를 팔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나라의 국채를 사들이고 있어 막대한 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원화 환율이 너무 가파르게 하락할 수 있어 걱정이다. 환율이 예측 가능한 적정 범위 내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운영의 묘를 찾아주기를 기대할 뿐이다.
이미 하나가 된 세계자본시장에서 개별국가의 인위적인 거시정책이 일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는 있으나 그 이상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세계화의 현실이다. 정부가 세계시장에서 시장원리를 무시하고 섣불리 개입하면 자원배분의 왜곡을 초래하고 부작용으로 국민의 부담이 증폭될 수 있다.
이제는 대ㆍ중소기업 간의 양극화, 국민소득의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인위적인 부양책과 고환율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 거래질서가 확립된 시장경제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시스템 구축에 매진해야 한다.
거시경제 환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공정한 시장경제가 작동될 때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들은 국가 경제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선진한국을 만들어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