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 대화전략 성과 없으면 군사행동 가능성도"

원세훈 국정원장, 국회 답변

원세훈 국정원장은 19일 북한이 대화전략에 성과가 없으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나중에 핵실험 등 군사적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이벤트성으로 하지 않기로 한 정부 방침에 따라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원 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북한은 지금 대화전략을 쓰고 있으나 언제든 성과가 잘 나타나지 않으면 국면전환을 위해 핵이나 미사일 등 군사적 행동을 통해 대남압박을 하지 않겠냐"고 답변했다고 한나라당 간사인 황진하 의원이 전했다. 하지만 그는 "현재 다양한 핵실험 장소가 있고 일부 공사도 진행 중이므로 핵실험은 언제든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당장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말했다고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이 전했다.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원 원장은 "이벤트성 회담을 안 한다는 입장이며 그래서 쉽지 않다"고 밝혔다.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서는 북한이 천안함 및 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비핵화를 하겠다는 진정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6자회담 전에 남북대화가 필요하지만 역시 북의 사과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사과수위에 대해서는 "진정성을 확인하는 수준의 모색을 포함해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국정원 관계자는 "'선(先) 사과 요구'라는 대북정책의 원칙이 바뀐 것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김정은의 중국방문 시기에 대해 "아직 입수된 첩보가 없다"며 "비행기편으로 (중국에) 오라는 얘기도 들었지만 방중을 언제 하느냐, 비행기로 갈지 열차로 갈지는 그때 가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원 원장은 말했다. 그는 또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등 전직 국가수반급 모임인 '엘더스그룹'의 방북에 대해 "북한이 초청한 게 아니다"라며 "카터 대통령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친서를 갖고 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원 원장은 농협 전산망 마비사태가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모니터링을 했으나 그런 징후는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