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기업가치는 시장이 먼저 알아본다.

현대 프로야구단이 진통 끝에 매각됐다. 그동안 농협ㆍSTX그룹ㆍKT 등이 인수 움직임을 보였지만 모두 무산됐다. 매각대금이나 연고지 조정 등 여러 가지 복잡한 사정도 있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프로야구단이 갖고 있는 기업가치의 문제다. 왜 이 구단을 인수하겠다고 선뜻 나서는 기업이 없었을까. 국내 대부분의 프로스포츠 구단들은 주식회사 형태지만 수익성보다는 소속 그룹의 홍보 수단 역할에 안주했다. 적자가 나더라도 그룹에서 보전해주니 이익을 내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성적에만 매달려왔다. 프로야구단의 경우 1년 운영비가 대략 200억원 정도인데 수익은 약 50억원에 불과하다고 한다. 매년 약 150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니 한마디로 부실기업인 셈이다. 우리나라 프로야구단의 대부분은 관중수입에만 의존하는 단순 수익구조를 갖고 있다. 그동안 스포츠마케팅을 제대로 접목시키지 못한 결과다. 게다가 우수선수를 확보하기 위한 소모적인 경쟁을 하다 보니 선수들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그런 결과 KT가 인수 협상을 벌일 때 제시한 금액이 모 구단에서 선수 한명에게 제시한 몸값보다 적은, 웃지 못 할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국 프로야구단의 경영 형태를 보면 프로야구가 출범하던 26년 전이나 지금이나 근본적인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제 프로구단의 경영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한 투자전문회사가 현대구단을 인수, 제8구단을 창단하면서 ‘네이밍마케팅’을 표방하며 한국 스포츠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번 프로야구단 매각 과정은 기업 경영에 있어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기대하기 전에 스스로 기업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 아무리 독점적 기술과 브랜드 파워로 한 시대를 풍미하며 시장을 지배하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소득 수준과 기술의 발전, 고객 생활 양식의 변화, 고객 욕구의 보편적 흐름에 맞춰 기업 변신을 스스로 꾀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쇠락의 길을 걷게 될 것이다. 기업 체질의 변화가 일상화되도록 시스템화해야 한다. 끊임없는 경영 혁신으로 비용과 원가를 절감하고 기업 신용관리를 강화하며 지속적인 신기술ㆍ신제품 개발로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지금 우리 기업인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 스스로 기업가치를 높이고자 끊임없이 변화를 시도하는 기업가 정신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