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음지의 '대체의학' 제도권으로 진입

음지의 '대체의학' 제도권으로 진입 포천중문의대 대학원 설립 국내에서도 대체의학 대학원이 최초로 설립돼 그 동안 음지에서 변방의학으로 취급 받던 대체의학이 제도권내로 편입된다. 포천중문의대는 5일 서울 강남 차 한방병원에 대체의학 대학원을 개설, 의사와 한의사, 치과의사 등 의료전문가로 자격을 엄격 제한한 신입생 20명을 선발, 2001학년도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5학기제의 대체의학과 1개 학과로 출범하는 이 대학원은 서양의 대체의학 성과를 흡수하고 동양의학의 과학화와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포천중문의대는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엠퍼러 한의과대학과 상호 학점이수 인정을 골자로 한 교류협정을 체결하고 대학원 졸업생에게 미국 한의사 시험응시자격도 부여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포천중문의대 차병원은 지난 95년 수도권 종합병원으로는 처음으로 대체의학진료실을 만들어 양.한방협진 체제를 구축하고 포천중문의대 의예과에 대체의학과정을 개설한데 이어 98년에는 대체의학 연구소를 설립했다. 포천중문의대는 5일 오전 서울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대체의학 대학원 설립 소개 및 미국 엠퍼러 한의과대학과의 교육협력 조인식'을 가졌다. ■ 대체의학이란 무엇인가 대체의학이란 일반적으로 식이요법이나 민간요법,약초를 사용하는 허브요법 등 기존 합성 의약품이나 화학적 치료가 아닌 방법으로 치료하는 모든 자연요법을 총칭한다. 이는 서구의학의 관점에서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통계가 있는 서양의학 이외의 다른 의학'으로 현재 의과대학에서 가르치는 의학을 정통의학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붙은 이름이다. 이를 테면 전통중국의학이 중국 현지에서는 주요 의료제도이므로 보완-대체의학이 아니지만 서양의학을 주요 의료제도로 채택하고 있는 싱가포르에서는 보완-대체의학 범주에 포함된다. 또 한의학이 국내에서는 대체의학이 아니지만 미국에서는 보완-대체의학으로 불린다. 따라서 대체의학은 현재의 정통 서양의학과 동양의학 이외의 모든 치료의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 97년의 경우 대체의학 진료방문자수가 6억2,900만명으로 일차 의료관련 의사 방문자수 3억8,600만 명을 앞질렀다는 조사통계가 있을 정도로 대체의학 치료를 이용하는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99년 2,0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1년간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의사만 찾은 환자는 23.1%, 한의사만 방문한 경우는 6.7%인데 반해 대체의학 진료만 받은 경우가 10.4%에 이를 정도로 관심이 높은 편이다. 임웅재기자 입력시간 2000/12/05 18:56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