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학생이 그린 살기 좋은 마을 현실로

공원은 밝게… 계단 경사는 완만하게…<br>서울시, 공모작 추려 추진키로

"어두운 공원의 조명을 밝게 하고 꾸불꾸불 높은 경사의 계단은 좀 더 걷기 편하게 바꾸면 어떨까요."

대학생들이 서울의 각 마을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더 살기 좋아지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시는 이 가운데 현실성 있는 사업들을 추려 실제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21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학생공모전 시상식ㆍ주민사례 발표회'를 열었다.

27개 대학 214명의 학생이 모두 70개 작품을 제출했으며 각 작품마다 마을을 입체적으로 분석해 필요한 요소와 고칠 점이 무엇인지 자세하게 짚어냈다.


대상에는 정지혜씨 외 4명(성균관대)이 제안한 '이심전심 개봉3동 이야기'가 선정됐다. 대상작은 개봉3동의 위험한 계단을 개선하고 공원 조명을 밝히는 한편 마을에 잘 쓰지 않는 공간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만들자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관련기사



정씨는 "이웃이 누구인지 모르는 마을은 불안하다"며 "주민들이 서로 나누고 함께 살아가며 안심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마을을 재구성했다"고 말했다.

금상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ㆍ서울대 팀의 '들숨날숨 성대골 마을 만들기'와 중앙대팀의 '별을 품은 밤골마을 소생작전'이 각각 뽑혔다. 두 작품 모두 동작구 상도동을 대상으로 어린이 도서관 설립, 에너지 자립마을 구축, 공용주차장 설치, 골목 정비 등 마을을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수상자는 20개팀 51명으로 대상 1,000만원 등 모두 4,100만원의 상금이 지급된다.

진희선 서울시 주거재생정책관은 "대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자치구ㆍ주민과 함께 의논해 실제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