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2금융권 개혁] 현대투신

[제2금융권 개혁] 현대투신 AIG 변수… 오는 15일께 윤곽 금융감독위원회는 현대투신 문제가 새해 금융개혁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자 고심하는 흔적이 역력하다. 처리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금융시장 전체의 불안을 불러올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가 현투처리와 관련해 검토하고 있는 방향은 크게 3가지. ▦현대투신-AIG간 자체협상이 성공할 때의 방안 ▦자체협상이 무산돼 정부와 AIG가 공동 출자하는 방안 ▦AIG가 현대투신 출자를 전면 백지화할 때의 방안 등. 어떤 방안이든 금감원과 현대투신이 지난해 6월 맺은 경영정상화 이행각서(MOU)는 유효하다. 현대투신은 지난해말까지 자기자본부족분 1조2,000억원을 메우지 못했고, 결국 정부에 불이행시에 대비해 담보로 내놓은 1조7,000억원 규모의 비상장계열사(현대정보기술ㆍ택배ㆍ오토넷) 주식(시가 3,000억 안팎) 처분은 확정됐다. 정부 관계자는 "처분방법(장내 또는 현물출자)만 문제일 뿐 처분은 2월안에 끝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투신의 가장 낙관적 시나리오는 현투-AIG간 자체협상 성공이다. 정부로선 특별한 대책이 필요없다. 외자유치 성사분(1조)으로 메우지 못하는 자기자본부족분은 담보물을 처분해 처리하면 된다. 정부는 그러나 이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구상중인 방안도 자체협상이 결렬될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결렬될 때 그릴 수 있는 첫째 방안은 정부와 AIG간 공동출자다. 이 경우 현대계열의 지분은 완전 소각되고, 현대투신은 정부와 AIG의 공동경영 체제로 운영된다. 현대가 담보로 내놓은 3개사 주식도 공적자금 투입 절감을 위해 완전감자전 현대투신의 자본금으로 투입돼 사라진다. 현대로선 기존지분 외에 담보물까지 뺏기는 결과가 나온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정부 단독 출자다. AIG가 현투의 숨겨진 부실에 실망, 출자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다. 정부는 담보물을 현물출자나 장내처분을 통해 현투에 투입한뒤 역시 완전감자를 통해 공적자금을 투입하게 된다. 최악의 시나리오지만 가능성은 적지 않다. 공적자금 투입은 최소 1조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어떤 경우든 이달 15일께 시장에 처리방향을 드러낼 것"이라며 "정부가 사전 준비를 충분히 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의 충격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