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50돌 맞는 전경련, 존재 이유 있나] 무능·독단 관리자 '양철' 교체해야

허창수 회장 등 회장단도 수수방관 '빈축'


전국경제인연합회 사무국이 현지의 정치권 불법 로비 시도는 물론 무능과 독단, 전횡으로 '한강의 기적'의 주역인 기업가들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있지만 허창수 회장을 비롯한 전경련 회장단이 이를 수수방관해 빈축을 사고 있다. 이에 따라 전경련 회장단이 '양철(정병철 상근부회장, 이승철 전무)로 불리는 전경련 사무국 최고관리자들을 즉각 교체하지 않을 경우 국민들의 지탄이 관리 책임을 지고 있는 회장단에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재계와 GS그룹 등에 따르면 허 회장은 사태의 전말을 보고받았지만 이렇다 할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재벌 총수 19명으로 구성된 부회장단(정병철 상근부회장 제외) 역시 따로 회동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는 모습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 전경련 사무국은 일단 '실무진의 해프닝'으로 해명한 것이 허 회장은 물론 회장단이 이해하고 있다고 보고 서둘러 봉합하려는 분위기다. 한발 더 나아가 정 부회장과 이 전무 등은 더 이상 논란이 커지지 않는 한 그대로 덮을 수 있다는 자신감마저 보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재계는 이번 정치권 로비 사건을 전경련이 전근대적 사고와 반사회적 행위로 기술개발과 설비투자, 글로벌 경쟁에 여념이 없는 대다수 대기업들을 정경유착의 범죄자로 전락시킨 '반(反)기업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재계 일각에서는 지난 3월 취임한 허 회장이 이렇다 할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 이번 사태의 원인 가운데 하나라고 진단하고 있다. 아울러 이 같은 전경련 사무국의 잘못된 태도는 회장단은 물론 삼성ㆍ현대차ㆍLG 등 주요 그룹의 방치 내지 묵인이 주된 요인이라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회장단이 자기 그룹의 현안을 해결하는 데 전경련을 이용하려고만 할 뿐 전경련 사무국이 고도의 도덕성과 전문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을 견지하도록 감시나 관여를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회원사들이 전경련을 감시 감독하거나 전경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방치한 것이 오늘날 전경련의 문제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회장단이나 주요 그룹들이 정 부회장과 이 전무, 즉 '양철'의 아전인수식 해명에 현혹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전경련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정 부회장은 모난 성격에 소통능력이 떨어지는 게 원인인데도 일부 언론의 부당한 요구에 맞서면서 언론과 갈등이 생긴 것으로 얘기하고 다닌다"며 "이 전무 역시 회원사가 낸 회비를 잘 쓰기 위해 한국경제연구원 구조조정을 한 것처럼 주장하면서 자기 사람 챙기기로 사무국을 사조직화하는 것을 감추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