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생보사 "자금이탈 막아라" 비상

생보사 "자금이탈 막아라" 비상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대비해 보험사들이 지난 95년 공동 판매했던 새가정 복지(저축성)보험이 올해 말 만기를 맞게 돼 거액의 자금이 일시에 이탈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뭉칫돈을 잡기 위해 보험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보사들이 96년 금융소득 종합과세에 대비해 생보사 공동상품으로 판매한 저축성 상품인 '새가정 복지'에 예치 됐던 자금중 올해 말 만기가 돌아는 것만 1조5,000억원, 사별로는 200억원에서 많게는 4,5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은 95년 월 평균 초회보험료가 800억원에 불과했으나 11월에는 1,882억, 12월 6,150억원으로 급증했다. 이 가운데 올해말에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은 4,5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교보생명은 95년 일시납 보험료가 월 200억원대에서 12월 한달동안 3700억원이 집중돼 이 가운데 3,500억원이 내달 만기 상환된다. 그나마 삼성, 교보 등 대형 생보사들은 자금사정이 좋아 큰 걱정을 않고 있지만 중소형사들은 뭉칫돈이 대거 빠져나갈 경우 유동성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일부 생보사들은 9%대 이상의 금리를 제시한 신상품을 출시하는 등 자금이탈 방지에 나서고 있다. 95년 한해동안 만기 5년의 일시납 보험상품 가입금액이 2,200억원에 달한 금호생명은 최근 1억원 이상 고액 예금자들에게는 영업소장이 직접 고객을 방문해 재유치에 나서고 있다. 또 최근에는 최저 금리 6.5%를 보장하는 'VIP 즉시연금' 상품을 내 놓기도 했다. 신한, 대신 생명도 내달 만기 돌아오는 금액이 각각 700억원, 230억원에 달해 만기 상환되는 자금을 재유치 하기위한 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박태준기자 입력시간 2000/11/26 17:04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