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전사고, 어린이 사망원인 1위

보건복지부는 어린이 사망원인 1위가 안전사고로 나타났고 가장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16일 밝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14세 이하 어린이 사망자 1,888명 가운데 32%(604명)가 안전사고로 사망했다. 유형별로 보면 교통사고가 45.7%로 가장 많았고 익사(14.1%), 추락(8.9%), 질식(2.3%), 화상(1.1%) 등이 뒤를 이었다. 어린이의 안전사고 사망비율은 선천성질환(17.4%, 328명), 신경계질환(12.4%, 234명), 종양이나 암(10.1%, 191명) 등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9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안전사고에 따른 사망률이 64.1%나 차지했다. 특히 이런 안전사고는 통상 가장 안전한 장소로 인식되는 가정과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국소비자원과 질병관리본부가 집계한 안전사고 발생장소 통계에 따르면 가정이 각각 59.2%와 64%에 달했다. 복지부의 2006년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한 해 안전사고로 사망한 어린이의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은 2조1,136억원이며 18세 미만 아동 1인당 약 16억8,000만원의 손실비용이 발생했다. 그러나 자녀 안전에 대한 부모의 지식은 64.8점(한국생활안전연합의 2009년 조사)으로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지식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전국 만 5세 이하 영∙유아 자녀의 부모 3만명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아동안전 키트도 배포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