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청년·고령층 '불황 직격탄'

청년층 취업자 올들어 감소<br>60세이상도 2분기들어 줄어<br>임시·일용직 일자리도 급감

올 들어 경기둔화의 여파로 신규고용이 크게 줄고 있는 가운데 청년층과 고령층의 고용 사정이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로는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급감한 반면 상용직은 늘어나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20일 한국은행이 펴낸 ‘최근 고용부진의 배경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전체 취업자 증가 수는 지난해 4ㆍ4분기 27만8,000명에서 올해 1ㆍ4분기 20만9,000명으로 급감했으며 4~5월에는 18만6,000명을 기록했다. 한은은 “최근의 고용증가 폭은 경제성장률과 장기고용률 수준에 비춰 크게 낮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고용현황을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가 올해 1ㆍ4분기 10만7,000명 줄었고 4~5월에도 7만4,000명이 감소했다.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수는 올해 1ㆍ4분기 1만5,000명 늘었으나 4~5월에는 1만8,000명 감소로 돌아섰다. 반면 중장년층(30~59세)은 1ㆍ4분기 30만2,000명에서 4~5월 27만8,000명으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고용형태별로 보면 임시ㆍ일용직 근로자들이 주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ㆍ일용직의 취업자 수는 올해 1ㆍ4분기 12만3,000명 감소한 데 이어 4~5월에도 15만8,000명이 줄었다. 상용직 근로자는 이 기간 43만5,000명에서 46만명으로 늘어나 대조를 이뤘다. 산업별로는 내수경기에 민감한 서비스업의 취업자 증가 수가 올해 1ㆍ4분기 31만1,000명에 이어 4~5월 26만8,000명을 기록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1ㆍ4분기 1만7,000명 감소한 데 이어 4~5월에도 2만7,000명 줄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대기업의 고용인원이 올해 1ㆍ4분기 2만6,000명에서 4~5월 5만2,000명으로 늘어 증가세가 뚜렷한 반면 100인 미만의 소기업은 같은 기간 29만1,000명과 20만6,000명을 나타냈다. 한은은 최근 고용 사정이 나빠진 주원인으로 경기둔화를 꼽았다. 한은은 ‘경제활동 참가율 결정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근 고용감소 규모의 54%는 내수둔화, 건설경기 부진, 기업 채산성 악화 등 경기 요인에 따른 것으로 추정했다. 저출산ㆍ고령화로 청년층과 30대 인구는 감소한 반면 경제활동 참가율이 낮은 고령층 인구는 빠르게 늘어나 노동 공급이 감소하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올해 고용부진의 22%가량은 고령화에 따른 것으로 추정했다. 고학력 청년층의 절대 다수가 공무원, 공기업 및 교원, 전문직,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반면 이들의 일자리는 외환위기 이후 크게 줄어드는 노동수급상의 불일치도 고용창출 능력을 약화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배성종 한은 조사국 과장은 “신규 취업자 증가 수가 지난해 28만명에서 올해 19만명으로 대폭 줄었고 다음해도 올해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내수둔화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 등 기업 투자환경을 개선하고 빈곤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