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빈부격차 OECD 최고수준

IMF이후 실직자 늘고 임금불평등 확대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 및 빈곤 정도가 주요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현상은 지난 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심화됐으며 경기침체로 인한 실직자 증가와 학력별 임금격차 확대 등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유경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8일 ‘복지정책의 방향 연구’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니계수가 96년 0.298에서 2000년에는 0.358로 급등했다고 밝혔다. 지니계수란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로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함을 뜻한다. 2000년 한국의 지니계수는 비슷한 시기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멕시코(98년 0.494), 미국(2000년 0.368)에 이어 세번째로 높아 소득 불평등이 심각한 수준에 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위소득의 40%에 못 미치는 상대적 빈곤층의 비율도 96년 전체 가구의 7.65%에서 2000년 11.53%로 급등했다. 이는 멕시코(98년 16.3%)보다는 낮으나 다른 OECD 국가들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이다. 또 가처분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절대빈곤층의 비율도 96년 5.92%에서 2000년 11.47%로 수직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가처분소득이 최저생계비를 20% 이상 넘지 않는 잠재적 빈곤층도 96년 3.94%에서 2000년 4.68%에 달해 빈곤층의 확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유 연구위원은 “소득 불평등 및 빈곤층 확대는 외환위기 이후 가구주 실직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며 “자본주의경제에서는 시장경쟁에서 탈락한 빈곤층 문제를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