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인터넷(IP)TV 상용 서비스를 준비중인 KT가 지상파 방송사에게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다른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KT는 이를 위해 시청자들에게 공시청 안테나를 제공하거나 재전송 서비스를 먼저 실시하고 사후 정산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사들이 이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있어 지상파 재전송을 둘러싼 갈등이 더욱 첨예화할 전망이다. 윤경림 KT 미디어본부장은 1일 광화문 KT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이 밝히고 10월 중순부터 상용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협상을 계속하고 있지만 원하는 수준의 차이가 너무 커 10월에 서비스할 수 있을 지 불확실하다”며 “여의치 않으면 다른 기술적 대안이나 가입자에게 디지털 안테나를 제공해 지상파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IPTV 지상파 재전송 협상이 계속 지지부진할 경우 방송사와의 극한 대립을 감수하고라도 ‘마지막 카드’를 쓰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하지만 그는 “이것이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고 말해 타협점을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윤 본부장은 또 복수채널제공사업자(MPP)와의 협상 진행상황에 대해 “CJ미디어나 온미디어가 케이블TV(SO)로부터 불이익을 걱정해 당분간 채널공급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확인했다”며 SO들에게 ‘공정경쟁’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것을 촉구했다. KT가 강경입장을 내비친 것은 이렇게 가다간 IPTV서비스가 ‘절름발이 상품’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위기의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날 오후2시 현재 방송통신위원회에 IPTV콘텐츠제공사업자로 등록 또는 신고한 업체는 모두 10여곳에 불과하다. 당초 접수를 시작하면 신청이 몰려들 것이라는 방통위 예상을 크게 벗어난 것이다. KT의 이치영 미디어본부 콘텐츠 담당 상무는 “KT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밝힌 곳 중 시청률 상위 50위 내에 들어있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라며 “들어오고 싶어도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사측에서는 KT의 강경 방침이 전해지자 ‘이중플레이를 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MBC 등에서는 협상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절대 IPTV 콘텐츠 제공사업자로 등록을 하지 않을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MBC의 한 관계자는 “KT에서 무슨 의도를 가지고 자꾸 그런 얘기를 하는 지 모르겠다”며 “지상파를 자극하는 이런 얘기를 하는 것 보니 다른 꿍꿍이가 있는 것 같다”고 불쾌감을 표현했다. 그는 또 ‘선 방송 후 정산’에 대해서도 “세상에 어느 누가 돈도 안받고 물건을 주겠냐”라며 “콘텐츠 사업자로 등록하는 순간 협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협상이 완전히 끝나기 전까지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