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은행 대출횡포가 中企 돈줄 죈다

꺾기등 여전…무역업체 66.7%가 "자금사정 악화"

은행 대출횡포가 中企 돈줄 죈다 꺾기등 여전…무역업체 66.7%가 "자금사정 악화" 무역업체들이 환율급락으로 수출에 타격을 입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의 횡포로 유동성 위기마저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의 금융지원도 수혜대상과 자금지원폭의 부족으로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해 대다수 기업들이 고리의 사채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는 최근 지난해 수출실적 50억 달러 이상의 237개 중소무역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조사기업의 66.7%에서 자금사정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자금사정 악화의 주요 원인에 대해선 은행의 대출자금 회수 때문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22.8%에 달해 금융조달 문제가 원자재 구매자금 증가(응답업체 36.7%)와 함께 기업의 돈줄을 죄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금융권의 ‘꺾기’와 같은 대출횡포와 담보위주의 대출관행은 여전히 만연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대출방식에 있어서도 순수신용 대출을 받았다는 기업은 21.1%에 불과한 반면, 담보와 신용보증을 통해 대출을 받았다는 기업은 각각 48.5%와 30.4%나 됐다. 또 경기도 T전자의 경우 E은행으로부터 대출금의 무려 30%를 정기예금으로 예치하라는 꺾기 요구를 받는 등 상당수 기업들이 은행의 일방적인 대출횡포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금융지원을 받아본 업체는 응답기업의 25.7%(61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이 같은 금융지원도 ‘지원한도가 너무 적다’(응답비율 37.1%)거나 ‘적용금리가 너무 높다’(〃30.0%)는 등의 이유로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는 게 해당 기업들의 반응이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중 절반에 가까운 44.3%(105개)는 사채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37.1%의 기업도 금리가 높은 제 2금융권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협의 고영만 무역진흥팀 차장은 “한국은행이 제공하는 무역금융 등 5개 대출금의 총액한도대출을 확대하고, 정부가 원자재구매용 정책자금지원(현행 650억원)을 늘려주고, 신용보증지원을 강화하는 등 대폭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입력시간 : 2004-11-30 17:0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