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사태 사실상 타결국면

LG그룹이 앞으로 1년간 발생할 LG카드의 유동성부족분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채권단의 요구를 원칙적으로 수용하기로 함에 따라 LG카드 사태가 9일중 타결될 전망이다. LG그룹 고위관계자는 8일 “앞으로 1년 안에 LG카드의 유동성에 추가로 문제가 생길 경우 LG그룹 및 대주주가 자금부족액의 75%를 지원해야 한다는 채권단의 요구를 전면 수용하기는 어렵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LG카드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시장불안이 증폭되고 있는 만큼 추가 책임을 지는데는 원칙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는 “채권단 및 금융당국과 책임비율이나 부담액 상한선을 얼마로 할 지, 그리고 부담한다면 어떤 식으로 해야할 지 등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좀 더 걸리지만 9일 중에는 어떤 식으로 타결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구본무 LG그룹 회장, 강유식 부회장을 비롯한 그룹 핵심관계자들이 이날 밤 늦게까지 채권단과의 막후조율을 위해 내부적으로 추가지원한도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LG의 움직임에 대해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LG측과 어떤 식으로든 접점을 찾기 위해 대화를 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틀을 깨지 않는 범위에서 지원조건을 부분적으로 절충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해 타결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이에 앞서 김진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LG카드의 대주주인 LG그룹도 주가상승과 배당으로 이익을 본 만큼 채권자들이 손실을 부담하는 수준에서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LG측의 책임을 강하게 요구했다. 한편 LG카드는 7일 오후부터 예금잔고부족으로 농협과 우체국을 시작으로 우리ㆍ하나ㆍ신한ㆍ외환은행과 새마을금고 등에서 현금서비스를 중단해 고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LG카드는 사태해결에 진전이 없을 경우 9일에도 자금부족규모가 5,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돼 파행적인 영업이 불가피한 것은 물론 `돌려막기` 고객들의 신용불량이 크게 늘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