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냉각장치 가동 실패' 방사능 계속 유출된다면…

원전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면 최후수단은 콘크리트로 봉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폭발 7일째인 18일 1호기와 2호기 원자로에 대한 전력시스템이 복구되는 등 사태수습에 일부 성과를 냈다. 그러나 위험요인들이 여전히 산적한 채 사태 진전의 계기는 좀처럼 마련되지 않고 있어 ‘콘크리트 봉인’이라는 최후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요미우리 등 현지 언론은“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아직 효과는 크지 않다”며 사태추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면 일본 정부가 서둘러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원자로ㆍ폐연료봉 냉각이 관건=이번 원전 사태가 조속히 수습되려면 원자로와 폐연료봉(사용 후 연료)의 냉각이 관건이다. 일본 정부는 살수차로 냉각수를 뿌리고 송전선 복구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수소 폭발사고 이후 줄어든 냉각수를 채우고 전력을 복구해 냉각 펌프를 가동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일본 정부의 속을 끓이고 있다. 1~4호기 모두 냉각수 수위 저하로 연료봉이 노출된 상태는 같지만 노심용융 정도 및 건물외벽, 지붕 등의 손상 상태가 모두 다른데다 방사성 물질 오염 우려로 작업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18일 1~2호기의 전력선이 복구됐지만 냉각 펌프가 정상 가동될지는 아직 속단하기 어렵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일본 정부의 복구작업에 대해 회의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요미우리는“냉각수 살포는 응급조치이며, 지진과 수소폭발의 충격으로 냉각 시스템이 손상됐을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로선 원자로 및 폐연료봉 냉각에 초점을 맞추는 게 최선이다. 하지만 만일 실패하거나 추가 폭발 등으로 사태가 더 악화될 경우 속수무책의 상황이 될 수 있다. 5~6호기 역시 폭발이 발생한 1~4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온도가 정상 수치를 넘어선 상태여서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최후의 카드는 콘크리트 봉인=전문가들은 현재 일본 정부가 취하고 있는 냉각수 살포, 송전선 복구 외에도 별도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원전 내부의 온도를 낮추지 못할 경우 추가 폭발 → 방사성 물질 대량 유출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미 냉각 작업은 한계에 다다랐으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때를 놓치지 말고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일본 정부 역시 원자로 및 폐연료봉 냉각 작업이 실패할 경우에는 결국‘최후 카드’를 꺼낼 수 밖에 없다. 마지막 방법은 체르노빌 원전 당시처럼 콘크리트로 원자로를 덮어 버리는 것이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이제 물을 이용할 시기는 지났고 콘크리트를 부어 원자로를 영구 매장하는 방법을 고민할 때”라며 “빠르며 빠를 수록 좋다”고 말했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도 “마지막으로 쓸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말했다. 일본 원자력안전보안원도 원전 사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을 경우‘체르노빌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콘크리트를 붓는 것도 쉬운 작업은 아니다. 원자로 1기를 묻는데 63빌딩 3~4개 분량의 콘크리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작업 과정에서 방사성 물질 오염이라는 치명적인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것도 고민이다. 후쿠시마 원전의 구조가 체르노빌과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콘크리트 봉인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비등수형 경수로(BWR)는 두께 1m 이상의 강철과 콘크리트로 이뤄진 강력한 격납 용기로 보호되는 반면 체르노빌 사고를 일으킨 흑연 감속로는 격납 용기가 따로 없어 폭발에 매우 취약했다. 한편 구 소련 당국은 지난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참사 발생 이후 7개월 만에 원자로의 잔해와 오염 물질을 콘크리트로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방사성 물질 누출을 차단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