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北에 통신망 복구협상 제안

정부는 13일 북한의 남북 직통전화 단절 및 육로통행 제한 등 파상공세에 대한 과잉 대응을 자제하면서 북한 측에 군 통신망 복구협상을 제안하는 등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청와대도 이와 관련해 “북한 나름의 전략적 고려가 있겠지만 이른바 통미봉남(通美封南)을 겨냥했다면 상황을 잘못 파악하고 있는 것”이라며 유감표명과 함께 대화를 요구했다. 정부는 이날 남북 장성급회담 남측 수석대표인 권오성 정책기획관(소장) 명의로 북측 단장인 김영철 중장에게 보낸 답신 성격의 전화통지문에서 서해지구 군 통신망 정상화를 위한 자재ㆍ장비 제공 문제를 협의하자고 북측에 제의했다.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 이후 제공을 미뤄온 군 통신 관련 자재ㆍ장비를 북한에 공급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대남공세를 자제하고 대신 협상 테이블에 나와 대화에 임하라는 뜻을 전한 것이다. 북한은 새 정부 들어 서해선 통신선 현대화를 위한 광케이블 자재와 장비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우리 정부는 지난 5월 군 통신 자재ㆍ장비를 북에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일부 팩스 등 자재를 제공했지만 7월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이 발생한 후 중단했다. 김하중 통일부 장관은 이날 서울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과의 면담에서 “앞으로 북한 핵 불능화 작업이 진전됨에 따라 북측과 개성공단 기숙사 건설에 관한 협의를 시작하려고 한다”면서 “남북 당국은 정치적 상황과 상관없이 개성공단 사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관훈클럽 초청토론회에서 북한의 핵 시료채취 거부 의사 표명과 관련해 “북한이 과연 어떤 메시지를 주려고 하는지 관련국 간에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전일 북한이 예고한 판문점 적십자 채널을 통한 당국 간 직통전화 라인이 이날 실제로 단절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