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비슷하면서도 다른 각당 지방선거 공약

일자리창출·남북관계 개선 비슷, 부동산·교육해법엔 시각차 뚜렷<br>與 "3·30 차질없는 추진" 한나라 "아파트 공급확대" <br>한미FTA 與·한나라 "찬성" 민주·민노·국민중심 "반대"


5ㆍ31 지방선거에 임하는 여야 각 당은 경제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 국민의 삶의 질 개선, 남북관계 개선 등 총론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비슷한 시각을 보였다. 다만 각론으로 들어가면 당면 현안을 바라보는 정당별 시각차와 그 해법이 다른 경우가 많았다. ◇부동산대책, 남북관계 등 여야 시각차 커=열린우리당이 부동산 문제 해결방안으로 4월 임시국회에서 강행 처리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등 3ㆍ30부동산 후속대책의 차질 없는 추진을 강조한 반면 공급확대를 강조해온 한나라당은 뉴타운 등 기존도시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교육분야에서 우리당은 지자체 자체수입의 5% 이상 교육투자 방안을 제시한 반면 한나라당은 대학등록금 부담을 반으로 줄이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다. 또 우리당은 대북문제와 관련해 개성공단의 차질 없는 추진과 이산가족ㆍ납북자문제해결 등 남북화해협력에 방점을 뒀고, 한나라당은 북한인권법 제정ㆍ대북지원 관리감독체제 구축 등 북한 인권문제를 중시했다. 우리당은 양극화 해소를 위해 장애인ㆍ빈곤층 지원 강화와 건강보험 확대를 통한 의료비 부담 완화방안을 제시했고 한나라당은 당론으로 추진 중인 기초연금제 도입을 주장했다. 우리당은 이밖에 주민소환제 도입과 공공기관 감사기구의 독립성 보장 등 지방정부 개혁정책을 주요 공약에 포함시켰고 한나라당은 GPS 휴대폰을 통한 성폭력 등 강력범죄 퇴치를 10대 공약에 넣었다. 농어촌 지역이 대부분인 광주ㆍ전남에 기반을 둔 민주당은 기업농 육성, 쌀값 안정화, 수산업 정책자금 금리 인하 등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고 일자리 50만개 창출, 노인ㆍ장애인 권익향상, 아시아ㆍ태평양 평화공영 실현 등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민주노동당은 임대주택 지역쿼터제, 2조5,000억원 규모의 지역복지사업계정 신설, 공공의료기관 확충, 공공보육시설 2배 확충, 대도시 자동차 운행 및 건설행위 제한을 통한 대기질 개선, 인사청문회 대상 확대, 주민의 예산편성 참여 등을 제시했다. ◇한ㆍ미 FTA 소야 3당 반대=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정당별로 뚜렷한 입장차가 드러났다. 논란을 빚고 있는 한ㆍ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찬성 입장을 보인 반면, 민주ㆍ민노ㆍ국민중심당은 반대 입장을 보여 대조를 이뤘다. 수도권 산업단지에 대한 규제완화 여부에 대해 수도권에 국회의원과 자치단체장이 많은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대체로 찬성 입장을 보였지만 민주당과 민노당ㆍ국민중심당은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자립형 사립학교 확대 여부에 대해 한나라당과 민주당ㆍ국민중심당이 찬성 의사를 밝힌 가운데 우리당은 유보, 민노당은 반대 입장을 각각 나타냈으며 고교 등급제 불허 입장에 대해서는 한나라당과 국민중심당이 반대해 교육 부문에서는 한나라당과 국민중심당의 당론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