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로 여의도 면적의 배 웃도는 갯벌 감소

국토해양부가 인천만조력발전소를 건설 할 경우 여의도 면적의 배를 웃도는 갯벌이 줄어 들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방해양항만청과 한국수력원자력은 15일 오전 인천시 중구 운남동 중구농협 강당에서 주민과 환경단체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만조력발전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 따르면 조력발전소가 건설되면 사업예정지 갯벌 면적이 현재 104.7㎢에서 86.8㎢로 약 17%(17.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여의도 면적(8.48㎢)의 배 이상에 해당한다. 또 건설 예정지에는 법정보호종인 탱자나무를 비롯한 식물 146종, 포유류 4종, 곤충 39종이 발견됐고 올해 2월과 5~6월 각각 47종, 99종의 조류가 관찰됐다. 조력발전소가 건설되면 해안에 살고 있는 통보리사초 등 염생식물과 도요새ㆍ물떼새 등 조류 개체 수가 줄고 공사에 따른 소음과 진동 때문에 동물 서식환경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간대(만조 때 해안선과 간조 때 해안선의 사이)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체서식지 조성 등 대책을 마련해 동ㆍ식물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인천ㆍ경기지역 12개 환경단체로 구성된 ‘강화ㆍ인천만조력발전반대 시민연석회의’는 이날 설명회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만 조력발전소가 건립되면 갯벌 훼손은 물론 개발을 둘러싼 지역공동체 분열이 예상된다며 건설 계획 백지화를 촉구했다. 이 단체는 “최근 새만금에서 방조제 건설에 따른 바닷물 유속 약화로 퇴적질이 모래질에서 뻘질로 변하는 등 사업 초기 예상치 못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라며 “인천만 조력발전소에 관한 사전환경성검토서에는 예정지 안팎의 퇴적과 침식, 갯골발달 등과 같은 퇴적환경과 생태환경 변화에 관한 내용이 없는데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국토해양부는 주민 의견 수렴을 마친 뒤 사전환경성검토서 본안을 작성해 환경부와 협의하고 이를 토대로 중앙연안관리심의회 심의를 거쳐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을 제3차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인천만조력발전소는 강화도 남부와 장봉도, 용유도, 영종도로 둘러싸인 해역에 사업비 3조9,000억원을 들여 시설용량 132만㎾의 세계 최대 조력발전소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