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글로벌의 진로가 대규모 채무재조정을 통한 생존 쪽으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다. 4,000억원대의 장부 외 자산이 발견돼 전체 부실과 자본잠식 규모는 예상했던 수준에 그쳤다. 채권단과 SK측이 글로벌의 정상화를 위해 분담할 몫도 큰 줄기를 잡은 듯하다. 하지만 보유채권의 자본전환 규모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커 합의에 실패하면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글로벌 회생 가능성 높다=SK글로벌 부실규모는 국내 2조원, 해외 4조원 등 모두 6조원대, 자본잠식 규모는 4조2,000억원선. 채권단은 안도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통상 실사기관이 보수적 잣대를 적용하는 점과 종합상사 특성상 해외 부문의 `숨은 부실`이 크기 마련인데 예고된 부실규모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글로벌이 SK㈜ㆍSK텔레콤 등의 지분을 소유한 채 해외에 파킹하고 있는 4,000억~5,000억원 규모가 부실을 줄이는 데 큰 보탬을 줬다는 후문이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SK㈜ 등이 매출채권(1조5,000억원)을 자본으로 전환하면 충분히 회생 가능하다”고 말했다. SK도 이번주 중
▲SK㈜의 매출채권 출자전환
▲계열사 거래 확대를 통한 영업이익 증대방안
▲해외영업망 축소
▲수익성 낮은 사업정리 등을 골자로 한 회생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SK-채권단 힘겨루기 본격화=SK와 채권단이 검토 중인 총출자전환 규모는 4조~4조5,000억원. 채권단은 이중 2조~3조원대의 채권을 자본금으로 전환한다는 복안이다. SK㈜가 갖고 있는 매출채권을 얼마나 자본금으로 전환하느냐에 따라 채권단의 자본전환 규모도 달라진다. SK와 채권단간 마지막 힘겨루기의 핵심이다. 채권단은 그룹 차원의 자구안이 충분하지 않으면 청산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심산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청산을 택할 경우 SK㈜는 매출채권을 모두 날릴 수 있지만 채권단은 최태원 회장이 맡긴 담보 등 회수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SK글로벌 정상화추진본부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 지원을 위해) 주주와 계열사를 설득하려면 채권단의 입장이 먼저 확정돼야 한다”며 기존 입장을 확인했다. 해답은 이번주 말쯤 도출될 듯싶다.
<손철기자 runiron@sed.co.kr>